해양수산부는 “맞춤형 일자리 대책과 관련, 10월초 부터 기재부와 협의·조정을 통해 일자리 대책을 마련한 바 있다”며 “발표당일 일방지시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습니다.
해수부는 10월 29일자 한국경제 <“어촌 그물 수거 750명 뽑아라”…발표 당일 일방지시에 해수부 ‘멘붕’>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정부가 ‘단기 공공 아르바이트’ 5만 9000개를 급조해 일자리 대책에 억지로 꽂아넣으면서 해당부처와 산하기관들이 우왕좌왕하고 있고 사업을 사실상 강제로 할당받아 실적을 채워야 하는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님
해수부가 전국 75개 국가어항에 방치된 그물 등을 수거하는 작업에 750명을 투입하는 사업이 대표적이며 해수부 관계자는 ‘정부 대책 발표(24일) 즈음에 기재부에서 통보받아 아직 구체적인 사업안이 없다’며 ‘다음주부터 어촌어항협회,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의하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 이라고 말했음
[부처 해명]
단기 일자리 대책 발표 당일 일방지시에 해수부가 ‘멘붕(멘탈 붕괴)’ 이라는 보도는 사실과 다름
해수부에서는 맞춤형 일자리 대책과 관련하여 ‘18.10월초 부터 기재부와 협의·조정을 통해 일자리 대책을 마련한 바 있으며, 발표당일 일방지시된 것은 아님
또한, 정부 대책 발표(24일) 즈음에 기재부에서 통보받아 구체적인 사업안이 없다는 내용도 사실과 다름
해수부에서는 어촌어항공단에 위탁하여 국가어항 수역 환경개선사업을 기 시행하고 있었으며, 금번에 75개 국가어항 육상구역에 방치된 쓰레기, 그물, 어구 등의 처리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여 기재부와 필요한 예산(인력 고용, 쓰레기 처리비 등)을 협의·요구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