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재생에너지 신규설비 투자금액 산출방식 달라

2018.10.29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우리 부와 입법조사처의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 투자금액 산출방식이 서로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산업부는 10월 27일 조선일보 재생에너지 기술혁신 한다지만설비투자비만 102兆에 대해 이 같이 입장을 밝혔습니다.

[보도 내용]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계획’에서 2030년까지 신규설비 투자비를 92조원으로 밝힌 반면, 입법조사처는 최대 102조원의 설비투자가 필요하다고 전망

[부처 입장]

우리부와 입법조사처의 신규설비 투자금액 산출방식이 다름

우리부는 3020 목표 달성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과 단위 용량당 설치단가(투자비 감소율 반영)로 투자금액을 산출한 반면,

입법조사처는 2030년까지 한전의 전력구매비용 증가금액에서 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 투자금액을 추정하였음

입법조사처는 한전의 전력구매비용을 재생에너지 구매단가에 따른 3가지 시나리오로 구분하여, 재생에너지 신규설비 투자금액을 최소 87조원에서 최대 102조원으로 전망하였음

< 시나리오별 재생에너지 신규설비 투자금액 >

* 200원/kWh에서 지속하락
* 200원/kWh에서 지속하락

△입법조사처 시나리오별 신규설비 투자금액 차이, △과거 태양광·풍력 발전단가 감소추이, △국내외 유수기관의 발전단가 전망 등을 감안하면 정부의 신규설비 투자금액 추정치는 무리가 없다고 판단됨

< 과거 태양광·풍력 발전단가 감소추이 (출처 : IRENA) >

* LCOE(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균등화 발전비용) : 생산전력당 평균 발전비용
* LCOE(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균등화 발전비용) : 생산전력당 평균 발전비용

< 국내 LCOE 전망 (출처 : 산업조직학회) >

 * 2025년 LCOE(英 BEIS 보고서, ‘16.11) : 63 ?/MWh(태양광), 61 ?/MWh(육상 풍력)
* 2025년 LCOE(英 BEIS 보고서, ‘16.11) : 63 £/MWh(태양광), 61 £/MWh(육상 풍력)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보급과(044-203-537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