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통합재정수지 적자 차이, 정산 처리방식 차이에 기인

2018.11.06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기사에서 언급한 2020년 통합재정수지 적자 13조 7000억원은 예산정책처의 ‘2018년 NABO 중기재정전망’에서 인용한 수치로 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상 2020년 통합재정수지 적자 5000억원과 차이가 나는 주 요인은 2018년 초과세수에 따른 지방 이전재원(지방교부세·지방교부금) 정산 처리방식 차이에 기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재부는 11월 6일 국민일보 <2년뒤 재정적자 13조 7000억… 정부예상치 27배>에 대해 이 같이 입장을 밝혔습니다.

[보도 내용]

2020년 통합재정수지가 정부 전망치(5000억원 적자)를 훌쩍 뛰어넘은 적자로 돌아설 것

[부처 입장]

기사에 언급된 2020년 통합재정수지 적자 13조 7000억원은 예산정책처의 “2018년 NABO 중기재정전망”에서 인용한 수치로서,

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상 2020년 통합재정수지 적자 5000억원과 차이가 나는 주 요인은 2018년 초과세수에 따른 지방 이전재원(지방교부세·지방교부금) 정산 처리방식 차이에 기인

동 전망은 2018년 초과세수 예상액(22조 5000억원)만큼 세계잉여금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하고,

그 중 8조 8000억원*을 국가재정법 제90조, 지방교부세법 제5조제2항,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제9조제3항에 따라 지방교부세·지방교부금에 대해 정산처리*하면서 정산금액을 2020년 총지출에 반영하였음

* 내국세 징수액의 약 40%(지방교부세 19.24%, 교육교부금 20.27% 등)

그러나 2018년 초과세수로 인한 지방교부세·지방교부금 정산 소요는 2019년에 세계잉여금으로 바로 정산하므로, 8조 8000억원은 2020년 총지출 전망에 포함되지 않아야 함

* 실제 2006년~2017년 교부세·교부금 정산(2013년∼2015년 미발생) : 익년도 4월∼9월

나머지 차이는 경상성장률 전망, 물가상승률, 사회보험가입자 수 등 분석모형과 거시 전제 등의 차이에 기인

문의 : 기획재정부 재정혁신국 재정건전성과(044-215-574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