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환경미화원 근무환경 개선 협의회에 미화원 참여 중

2018.11.07 행정안전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안전부는 “환경미화원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지난 9월 구성한 ‘환경미화원 근무환경 개선 협의회’에는 환경미화원을 포함해 14명의 위원이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행안부는 11월 7일 서울신문의 <‘환경미화원 처우 개선’ 논의 테이블에 미화원은 없었다>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용역직 환경미화원의 처우를 개선하려고 만든 ‘환경미화원 근무환경 개선 협의회’에 당사자인 현장 미화원이 빠진 대신 그 자리를 미화원 처우 개선의 걸림돌로 지적받는 청소용역업체 대표가 메움

[부처 설명]

환경미화원의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지난 9월 구성한 ‘환경미화원 근무환경 개선 협의회’에는 환경미화원을 포함하여 14명*의 위원이 참여하고 있음
    
* 관련부처 4, 지자체 4, 전문가 3, 노조추천 2(환경미화원 1, 정책국장 1), 청소용역업체 1

행정안전부는 지난 9월 ‘환경미화원 근무환경 개선 협의회’ 구성을 위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에 위원 추천을 요청하였음

한국노총은 환경미화원으로 근무 중인 서울시노동조합 부위원장을 위원으로 추천하였고, 민주노총은 환경미화원 근무환경 개선방안 마련에 참여한 정책국장을 위원으로 추천하였음

※ ‘환경미화원 근무환경 개선 협의회’ 1차 회의(10.12일)에 양 노총 소속 환경미화원이 배석하였으며, 다양한 청소현장의 애로 및 제도개선 요구사항을 건의

청소용역업체 대표가 위원으로 참여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환경미화원은 직영근로자와 민간업체에 고용된 위탁근로자가 있는데 직영근로자는 지자체가, 위탁근로자는 민간위탁업체가 주체가 되어 근무환경 개선을 추진해야 함에 따라 위탁업체 참여는 불가피함
   
※ 위탁업체의 동참 없이는 근무환경 개선이 사실상 어려움(직영 43.8%, 민간위탁 56.2%)

향후 정부는 환경미화원의 근무환경과 처우가 조속히 개선되도록 관련기관, 환경미화원 및 노조 등과 충실하게 협의를 진행해 나가겠음

문의: 행정안전부 자치행정과 02-2100-370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