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배달대행 중개업자 과태료, 낮은 형사처벌 고려한 경제적 제재

2018.11.23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배달대행 중개업자 과태료 규정은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의 형사처벌이 낮은 현실을 고려해 경제적 제재를 강화하는 것”이라면서 “배달종사자에 대한 안전·보건조치는 아직까지 확정된 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노동부는 11월 22일 한국일보 <개정 앞둔 산업안전보건법도 ‘솜방망이 처벌’에 실효성 논란>에 대해 이 같이 설명했습니다.

[보도 내용]

법이 개정된 후에도 무면허 배달을 지시해 사망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음식점 사장이라면 형사처벌은 받지만 벌금 30만원에 그치고 중개업자는 과태료는 상당히 내지만 형사처벌은 받지 않는 것이다.

향후 법안이 통과되면 …(중략)… 30분 내 배달하는 것을 금지하고, 면허를 확인하도록 중개업자의 의무를 강화한다는 …(후략)…

[부처 설명]

□ 신설되는 배달대행 중개업자에 대한 과태료(1천만 원 이하) 규정은,

현재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에 대한 형사처벌 수준이 지나치게 낮은 현실을 고려한 것으로

* (2016년 사망사고) 법 위반 행위자 1인당 평균 벌금액: 432만원

과태료 규정을 통해 경제적 제재를 강화하여 의무 이행을 담보하려는 취지임

□ 참고로, 배달종사자에 대한 구체적인 안전·보건조치(30분 배달제 금지, 면허확인의무 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확정된 바가 없음

이해관계자 및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규정할 계획임

문의 :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 (044-202-7697)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