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에너지전환 전기요금 영향, 제대로 분석하려면

2018.12.28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영향’만을 순수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연료비·물가·수요증가효과 등은 제외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전기수요·연료비 증가 및 물가 상승에 따라 총 전력구입비가 증가하는 효과를 배제하고, 순수하게 에너지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요인은 2017년 대비 2022년에는 1.3%, 2030년에는 10.9%로 전망된다”고 설명했습니다.

12월 28일 한국경제 <정부 사실상 ‘탈원전 분식회계’ …허술한 통계로 ‘전기료 폭등’ 감춰>에 대한 해명입니다

[기사 내용]

① 전력구입비를 전망할 때 전력수요 증가 영향을 배제하고 2030년 전력수요가 2017년과 같다고 가정하였으며, 연료비, 물가 상승 효과도 모두 배제

② 전력구입비를 전망할 때 ’신재생에너지 단가가 19.5% 하락‘(장기계약효과를 반영안하면 35.5% 하락)한다고 가정하였는데, 풍력·바이오 등 다른 신재생에너지도 모두 태양광만큼 단가가 떨어진다고 가정

③ 전기요금 상승률을 산정할 때 전력구입비 증가율만을 구하고, 막대한 비용이 드는 송배전 건설비를 제외하여 과소 추계

[산업부 입장]

① ‘에너지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영향’만을 순수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연료비·물가·수요증가효과 등을 제외하는 것이 타당

ㅇ 연료비나 물가는 에너지 전환과는 전혀 무관한 요인

ㅇ 또한, 전력수요가 늘어나면 에너지전환과 무관하게 총 전력구입비가 늘어나므로 이러한 효과를 배제한 것이지, ‘30년 수요를 ’17년과 동일하다고 가정하거나 수요증가 영향을 반영하지 않은 것은 아님

ㅇ 작년 12.27일에 발표한 8차 전력수급계획에서 에너지 전환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요인을 분석하였고, 그에 따르면 연료비와 물가 요인을 제외할 경우 ‘17년 대비 ’22년에 전기요금 인상 요인은 1.3%, ‘30년에는 10.9%임을 이미 밝힌 바 있음

②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재생에너지 발전단가를 계산할 때 태양광 단가를 기준으로 전망하였음을 명시한 바 있음

ㅇ 이는 태양광이 재생에너지 중 가장 비중이 크고, 국내외에서 발전단가에 관한 연구와 실적이 많이 축적되어 있었기 때문임

 * ‘30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 태양광 36.7, 해상풍력 27.3, 육상풍력 9.6

 - 그에 따라 모듈가격은 해외기관 전망치, 비모듈 가격은 우리나라 과거 실적 비용을 반영하여 추정한 전기연구원의 분석 결과에 따라 35.5% 하락한다는 전망을 활용하였음

 - 참고로, 해외에서도 ‘17년 대비 ’30년 태양광 발전단가가 블룸버그는 66.8%, 국제재생에너지기구는 59% 하락한다고 전망하였음

ㅇ 반면, 해상풍력의 경우 국내 설치 실적이 거의 없어* 국내 여건을 고려한 미래 발전원가 추정에 어려움이 있었음

 * ‘17년 재생에너지에서 해상풍력 비중 : 0.24%(30MW)

- 따라서 해외 주요기관이 해상풍력 발전원가를 ‘30년까지 30~40% 하락할 것으로 전망한 점을 고려하여, 태양광 단가를 활용한 것임

해외기관 발전원가 발표자료

③ 재생에너지 비중이 확대되면서 송배전 설비 투자비용이 일률적으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고 단정지을 수 없음

ㅇ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되면 계통 보강비용이 증가하게 되지만, 반면 원전 등 대규모 기저발전 설비의 건설이 줄어들게 되어 송배전 설비투자가 오히려 줄어드는 측면도 있음을 고려하여야 함

문의: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진흥과(044-203-526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