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산후조리원 종사자도 결핵검진 실시…전염성 환자는 업무 금지

2019.01.03 보건복지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보건복지부는 “산후조리원은 의료기관으로 분류돼 있지는 않으나 의료기관과 동일하게 현행 결핵예방법에 따라 결핵검진 및 잠복결핵검진을 실시하고 전염성 결핵환자인 경우 업무 종사를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신규종사자는 모자보건법에 따라 종사전 1개월 이내에 결핵검진을 받도록 돼 있어 의료기관 등 타 시설(신규채용 후 1개월 이내)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1월 3일 서울신문 <산후조리원 종사자 33% 잠복결핵…산모·신생아 건강관리 비상>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산후조리원 종사자 중 잠복결핵 양성 판정을 받은 비율이 집단시설 종사자 중 가장 높은 수준이나, 산후조리원은 의료기관으로 분류되지 않아 규제 사각지대에 있음

[보건복지부 설명]

산후조리원은 의료기관으로 분류되어 있지는 않으나, 의료기관과 동일하게 현행 결핵예방법에 따라 결핵검진 및 잠복결핵검진을 실시하고, 전염성 결핵환자인 경우 업무 종사를 금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후조리원 신규종사자의 경우, 모자보건법에 따라 종사전 1개월 이내에 결핵검진을 받도록 되어있어 의료기관 등 타 시설(신규채용 후 1개월 이내)보다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 모자보건법 제15조의5 및 동법 시행령 제16조

또한, 모자보건법 개정(’18.12.27. 국회 본회의 통과)을 통해 결핵 등 질병이 의심되는 종사자에게 근무제한 조치를 하게하고, 감염예방교육 대상자를 종사자 전체로 확대하는 등 감염관리가 더욱 강화될 예정입니다.

문의: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 044-202-3397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