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초등 국정도서 일부 검정 전환, 품질 향상·선택권 보장 목적

2019.01.03 교육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교육부는 “초등 국정도서의 검정도서 일부 전환 목적은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과서 발행을 통해 교육과정 자율화를 지원하고 경쟁을 통한 품질 향상 및 교사·학생의 선택권 보장”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대상 교과는 초등 3~6학년 사회, 수학, 과학 교과용도서 65책”이라며 “다만 초등 1~2학년 전과목, 국어 및 도덕 등 기초·기본교육, 국가 정체성 관련 교과는 현행 국정을 유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적용 일정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국정도서의 4년 현장 사용 이후 학년군별로 단계 적용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1월 2, 3일 EBS·경향신문·동아일보 <초등학교 교과서, 2022년 국정에서 검정으로 전환>에 대한 설명입니다

--

[보도 내용]

○ 초등 사회, 수학, 과학 과목 교과서를 검정도서로 전환하여 2022년부터 현장 적용 예정
  -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정치적 논쟁, 정치편향성 문제 불거질 우려
○ 고교 직업계열 일부 인정 교과서에 대해 최소 기준만 갖추면 자유발행제 도입키로

[설명 내용]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당초 1월 중순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의 다양화·자율화에 관한 기본계획”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 일부 언론의 사전보도에 따라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은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학교 현장에 창의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교과서 발행체제 전반의 다양화·자율화를 목표로 한다.

□ 추진 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초등 국정도서의 검정도서 일부 전환
ㅇ (목적)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과서 발행을 통해 교육과정 자율화를 지원하고, 경쟁을 통한 품질 향상 및 교사·학생의 선택권 보장
   - 교사의 수업재구성과 학생 활동중심 수업을 지원하는 교과서 개발 
ㅇ (대상 교과) 초등 3~6학년 사회, 수학, 과학 교과용도서 65책
   - 다만, 초등 1~2학년 전과목, 국어 및 도덕 등 기초·기본교육, 국가 정체성 관련 교과는 현행 국정 유지
ㅇ (적용 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현행 국정도서의 4년 현장 사용 이후 학년군별 단계 적용

.

② 검정도서 심사제도 개선
ㅇ (목적) 2019년 검정심사 제도의 규제 완화를 통해 교과용도서의 질을 보장하면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교과서 개발을 지원
ㅇ (대상) 2019년 검정심사 대상 도서 총 14책
    ※ (중학교) 3학년 국어, 수학, 과학, 역사(①/②) 등, (고등학교) 한국사
ㅇ (주요 내용) 기초조사 강화 및 검정심사 절차 간소화
  - (기초조사 강화) 연구위원 수 및 기초조사 기간 확대 등 표현·표기 및 내용 오류를 조사·수정하는 기초조사 강화
  - (본심사 개선) 1~2차 본심사 통합, ‘수정 지시’를 ‘수정 권고’로 완화 및 합격 도서에 대한 심의진의 질적 평가 의견* 공유
   * 교육과정 정합성 및 창의적 교육과정 해석, 기타 개선 사항 등
ㅇ (적용 일정) 「’19년 검정 수정 계획」(~’18) → 검정심사 운영(’19.1월~8월)

③ 고교 전문교과 중 일부‘자유발행제’ 도입·추진
ㅇ (목적) 교과서의 개발, 선정 및 사용 과정에서 교사의 교육적 판단과 민간의 전문성이 활용될 수 있도록 점진적으로 자유발행제 추진
ㅇ (대상) 시대 변화에 탄력적인 대처가 필요한 전문교과에 우선 적용
 - 고등학교 전문교과Ⅰ(특수 목적고 전공 과목), 전문교과Ⅱ(산업수요 맞춤형 및 특성화고 전공 과목) 284책* 및 학교장 개설과목
 * 전문교과Ⅱ 과목 중 대학수능과목(6책) 및 NCS(294책) 과목은 현행 기준 적용
ㅇ (적용) 고등학교 도서 중 기존 인정도서는 현행대로 사용하고, 신규 출원 과목 및 학교장 개설과목에 한해 개선된 제도 적용

.

ㅇ (심사) 자유발행 대상 과목 및 고등학교 학교장 개설과목의 교과서 신규 출원 시, 심사 기준 완화 및 절차 간소화

.

ㅇ (개발 지원) 교사 등 현장전문가의 연구·집필, 현장 검토 등 지원
 * 집필 역량 강화 연수, 집필진 인력풀 구축, 집필 자문단 운영 등
ㅇ (추진 일정) 기본계획 수립(`18) → 제도 적용(’19) 및 현장 사용(’20.3.~)

④「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개정

ㅇ (개정 방향) 교육과정의 유연성을 지원하고 교과서 사용의 민주성 보장을 위해 선정 기준 및 절차 간소화
ㅇ (주요 내용) 인정도서 개념 재정립, 자유발행제 도입, 질 관리 강화 등
 - (인정도서 개념 재정립) 국·검정과 인정도서의 동등한 지위를 부여하고 교과서 선정 순위 폐지(개정안 제2조, 제3조)
 - (자유발행제 도입) 인정도서의 일부를 자유발행 도서로 발행할 수 있도록 대상 교과의 성격 및 절차 조항 등 신설(개정안 제16조)
 - (질 관리 강화) 교육부의 수정 지시를 요청으로 완화하고, 사후 질 관리를 위한 성실이행 조항 신설(개정안 제26조)

【붙임】「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 계획(안)」 1부. 끝.

문의: 교육부 교과서정책과(044-203-7026, 647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