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문화재 수리 시공편의 아닌 전통재료 물성 보완 차원

2019.01.14 문화재청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문화재청은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와 문화재수리 표준품셈의 일부 공종에 백시멘트를 사용하도록 한 것은 수리재료의 성능을 보완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문화재수리 전통재료인 석회, 진흙 등은 눈·비 등 외기에 노출될 경우 강도가 저하되고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며 “따라서 와구토, 줄눈 등 일부 공종에 한해 백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시공 편의를 위해서가 아니라 문화재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통재료의 물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1월 11일 KBS <서울 흥천사 대방 해체보수, 복원기준 엉터리>에 대한 설명입니다

문화재 수리 시공편의 아닌 전통재료 물성 보완 차원

  • 문화재 수리 시공편의 아닌 전통재료 물성 보완 차원 하단내용 참조
  • 문화재 수리 시공편의 아닌 전통재료 물성 보완 차원 하단내용 참조
  • 문화재 수리 시공편의 아닌 전통재료 물성 보완 차원 하단내용 참조
  • 문화재 수리 시공편의 아닌 전통재료 물성 보완 차원 하단내용 참조


[기사 내용]

600년 사찰 ‘시멘트 땜질’ 보수… ‘복원 기준’ 엉터리

[문화재청 입장]

□ 문화재수리는 무조건적으로 창건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문화재에 남아있는 여러 시대의 흔적들을 존중하여 이루어집니다.

○ 1931년 아테네회의의 권고, 1964년 베니스헌장, 1979년 버라헌장 등에서 문화유산 보수 시 양식에 의한 통일을 염두에 두지 말고 건축물에 남아있는 여러 시대의 흔적을 존중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업무지침(2010년 12월 22일 제정)’을 통해 ‘문화재축조에 정당하게 기여한 모든 시대요소가 존중되고 유지되어야 한다’고 문화재 수리의 시대기준 적용원칙을 정하고 있습니다.

○ ‘서울 흥천사 대방(등록문화재 제583호)’ 해체보수는 1960∼70년대 사진과 관계전문가의 자문 등을 통해 모든 시기의 흔적을 존중하여 보존하도록 하였습니다. 일례로 연탄난방으로 변형된 바닥을 구들 유구에 따라 전통온돌로 복원하면서도, 바닥 난방의 변천사를 확인할 수 있도록 연탄난방 유구도 일부 보존하였습니다.

□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문화재 수리·복원의 절대적 기준이 아닌 개별 문화재에 대한 수리 시방서 작성을 위한 참고기준입니다.

○ 각각의 문화재가 가진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를 절대적 기준으로 모든 문화재 수리에 적용한다면, 수리공사로 인해 문화재가 가진 고유의 가치가 훼손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따라서,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는 개별 문화재수리 시방서 작성준칙으로만 활용하여야 하며, 개별 문화재의 특성에 맞도록 별도의 시방서를 작성하여 시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문화재수리 표준시방서와 문화재수리 표준품셈의 일부 공종에 백시멘트를 사용하도록 한 것은 수리재료의 성능을 보완하기 위한 것입니다.

○ 문화재수리 전통재료인 석회, 진흙 등은 눈·비 등 외기에 노출될 경우 강도가 저하되고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 따라서 와구토, 줄눈 등 일부 공종에 한해 백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시공 편의를 위해서가 아니라 문화재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통재료의 물성을 보완하기 위한 것입니다.

* 백시멘트 사용 시 양생기간(강도발현 기간) 단축, 하자발생 저하 등의 장점이 있으며, 세계 각국이 참여하고 있는 캄보디아 앙코르 유적 복원사업에도 시멘트 등의 현대재료를 보조적으로 사용한 사례가 있음

□ 문화재청은 전통의 맥이 단절된 전통재료와 기법의 회복을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문화재청은 문화재 수리·복원 시 백시멘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한 품질이 확보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남한산성 여장 등을 대상으로 한 성능실험과 ‘문화재 복원용 석회 품질개선 연구(2017년∼2021년/국립문화재연구소)’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성능 실험과 시범사업 등을 통해 전통재료 사용의 회복을 위하여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 또한, 벽체 미장에서 대나무와 석회의 사용 등에 대해서도 역사적 기록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연구해 나갈 예정입니다.

○ 이외에도 전통단청 시공법 연구, 전통 철물 제법 기준 마련 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전통재료의 맥을 찾고 전통기법을 복원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문의 : 문화재청 수리기술과(042-481-4866)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