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돼지고기 소비자값, 도매가격 추세 맞춰 내림세

2019.01.29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지난해 6월 최고점 이후 하락 추세에 맞춰 소비자가격도 7월 최고점 이후 하락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농식품부는 “다만, 소비자가격은 도매가격과 같은 비율로 등락하지 않고 시기별로 등락폭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소비자가격이 도매가격 진폭에 보다 연동될 수 있도록 사이버 거래 등 신 유통 확대, 패커 육성, 소비지 판매시설 확충 등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1월 28일 국민일보 <돼지 공급물량 역대 최대인데…소매가는 왜 ‘뚝’ 안 떨어지나>, 이투데이 <돼지고깃값 공급 과잉에 40% 폭락>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돼지고기 공급은 증가하고 수요는 감소하면서 도매가격이 뚝뚝 떨어지는데 소매가격은 제자리 걸음이다.

수입산-국산 둔갑해 시장 교란, 소비자에 혜택이 돌아갈 대책 시급, 돼지고기 가격 40% 하락에 소비자가격은 21% 하락, 한돈협회 “유통구조 개선 필요” 등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18년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6월 최고점 이후 하락 추세에 맞춰 소비자가격도 7월 최고점 이후 하락하고 있습니다.

'18.12월 도매가격은 ㎏당 3,597원으로 평년(4,147원)대비 13.3% 하락할 때, 소비자가격은 17,560원으로 평년(19,510원) 대비 10.0% 하락하였습니다.

돼지고기 유통비용에는 임대료, 관리비 등 간접비와 이윤 등이 포함되어 있고, 유통비용률이 소비자가격의 39.7%('18.3분기 기준)인 점을 감안할 때 돼지고기 도매가격과 소비자가격은 연동되어 등락하고 있습니다.
  
* 유통 비용률 : (소비자가격 - 농가수취가격) ÷ 소비자가격 × 100
(출처 :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물 유통실태조사 보고서(3/4분기)」)

다만, 소비자가격은 도매가격과 같은 비율로 등락하지 않고, 시기별로 등락폭이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① 도매가격 : ('18.6월) 5,192원/지육㎏ → (7월) 5,120 → (8월) 4,838 → (9월) 4,909 → (10월) 3,911 → (11월) 3,675 → (12월) 3,597 → ('19.1.1∼28일) 3,250
* '19.1월 도매가격은 '18.7월 대비 36.5% 하락

② 소비자가격(냉장삼겹살) : ('18.7월)22,320원/㎏→(8월)22,010→(9월)21,720→(10월)20,240→(11월)18,220→(12월)17,560→('19.1.1∼28일)17,230
* '19.1월 소비자가격은 '18.7월 대비 22.8% 하락

농식품부는 소비자가격이 도매가격 진폭에 보다 연동될 수 있도록 △사이버 거래 등 신(新) 유통 확대, △패커 육성, △소비지 판매시설 확충 등 유통구조를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아울러, 돼지고기 수입산이 국내산으로 둔갑 판매되지 않도록 설·추석 명절 집중 단속 등을 통해 원산지 표시 단속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돼지고기 적발실적 : ('15) 1,191개소 → ('16) 1,356 → ('17) 1,202 → ('18) 1,069

※ 돼지고기 유통구조 개선 추진과제
 
○ 축산물 aT사이버 거래 : (‘18) 9,761억원 → (’20) 1조 800억원
○ 온라인 가격비교 시스템 구축·운영 : 정육점 684개소, 대형마트 500
○ 돼지고기 패커 육성
   (’18) 도드람양돈 김제FMC(일일 3천두 도축가공), 제주양돈 제주LPC(일일 1.5천두 도축가공) 패커 완성
   (’19) 대전충남양돈조합, 부경양돈조합, 논산계룡축협 등 패커 완성 계획
○ 소비지 판매시설 확충 : 정육식당 확대(농협 '20년까지 500개소)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과/축산경영과 044-201-2322/2336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