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직업계고 취업률, 동일 시점 기준으로 비교해야

2019.02.27 교육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교육부는 직업계고 취업률 감소 보도와 관련, “17개 시도 중 2년 전보다 취업률이 40% 이상 감소한 지역이 무려 14곳에 달한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며 “기사에서 언급한 2017~2018년 취업률은 4월 기준 조사 자료로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2019년에도 동일 시점인 4월을 기준으로 해야 하나, 해당 기사는 2019년 1월 취업률과 비교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2월 26일 세계일보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계고 취업률 ‘반토막’>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 17개 시·도 중 2년 전보다 취업률이 40% 이상 감소한 지역이 무려 14곳에 달했다.

- 전국 단위 직업계고 취업률이 크게 떨어지자 정부는 지난해부터 취업률 발표를 중단했다.

[교육부 설명]

위 기사에서 ‘17개 시도 중 2년 전보다 취업률이 40% 이상 감소한 지역이 무려 14곳에 달한다‘는 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기사에서 언급한 2017년~2018년 취업률은 4월 기준 조사 자료로 정확한 비교를 위해서는 2019년에도 동일 시점(’19년 4월)을 기준으로 하여야 하나, 해당 기사는 2019년 1월 취업률과 비교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충남교육청의 경우 2019년 9.1%로 제시되어 있으나, 2월 현재 20%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현장실습이 진행되는 학기 중 취업이 가능하였으나, 「학습중심 현장실습의 안정적 정착방안」(`18년 2월)에 따라 올해부터는 동계방학 이후 취업하도록 전환하여 현재 취업이 진행되는 상황입니다.

◇ ‘전국 단위 직업계고 취업률이 크게 떨어지자 정부는 지난해부터 취업률 발표를 중단했다’는 것도 사실과 다릅니다.

교육부는 취업률 통계조사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국가승인통계’로 변경을 추진 중입니다.

교육부는 고졸취업 기회를 확대하고, 직업계고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고졸취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1.25)하고, 「직업계고 현장실습 보완 방안」을 발표(1.31.)하는 등 현장성 높은 직업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우수한 기술인재가 되어 사회로 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앞으로도 각 정부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직업계고 학생들이 능력을 인정받고 양질의 일자리에 취업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문의: 교육부 중등직업교육정책과 044-203-637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