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공공기관 성희롱 피해 증가 엄중 인식…근절대책 강화

2019.03.06 여성가족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여성가족부는 “공공기관에서 성희롱 피해경험이 높게 나타난 것을 엄중하게 인식하며, 조직문화 개선과 행위자에 대한 처벌 강화 등에 역점을 두어 성희롱 근절 대책을 보다 강화할 계획”이라며 “피해자들이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 신고 및 사건처리 과정을 체계화하고, 피해자 보호와 지원을 강화해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여성임원 할당제는 여성임원 및 멘토 간담회 때 해외사례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언급한 것으로, 다수의 간담회 참석자들은 성별 다양성이 기업의 창의성과 집단지성을 높여 기업의 생산성이 제고된다고 말한 바 있다”며 “여가부는 자율과 협력을 기반으로 민간 부문의 여성대표성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3월 5일 서울신문 <공공기관 성희롱 피해 증가는 예방교육 효과?>에 대한 설명입니다

ㅇ 여성가족부(장관 진선미)는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라 2015년에 이어 전국 공공기관(400개), 민간사업체(1200개)를 대상으로 2018년 성희롱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ㅇ 성희롱실태조사는 ‘양성평등기본법’에 따른 법정 의무조사로, 성희롱 방지 정책 개선방안과 후속 연구추진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매 3년마다 실시하는 국가승인통계입니다.

ㅇ 3월 4일자 서울신문 <공공기관 성희롱 피해 증가는 예방교육 효과?> 보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 드립니다.

[기사 내용]

① 여가부가 공공기관 성희롱 피해 증가 원인을 명확하게 짚지 못하고 있음
② 여(女) 임원 할당제도 빈축

[여성가족부 설명]

① 2018년 성희롱 실태조사에 참여한 연구진은 2월 28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밝혔듯, “성희롱 피해를 경험한 사람은 2015년도 조사결과에 비해 높아졌는데 이는 미투 운동 이후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인식, 민감성이 높아졌고, 공공부문의 경우 2018년 상반기 공공부문 성희롱 실태 전수조사 실시로 인해 민감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본 조사 결과 성희롱 예방교육을 통해 성희롱에 대한 인지는 높아졌으나, 이 결과와 성희롱 피해 경험 증가 사이의 인과 관계는 밝혀진 바 없습니다.
 
여성가족부는 공공기관에서 성희롱 피해경험이 높게 나타난 것을 엄중하게 인식하며, 조직문화 개선과 행위자에 대한 처벌 강화 등에 역점을 두어 성희롱 근절 대책을 보다 강화할 계획입니다.

피해자들이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도록 공공부문 신고 및 사건처리 과정을 체계화하고, 피해자 보호와 지원을 강화해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② 여성임원 할당제는 여성임원 및 멘토 간담회 시 해외 사례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언급한 것으로, 다수의 간담회 참석자들은 성별 다양성이 기업의 창의성과 집단지성을 높여 기업의 생산성이 제고된다고 말씀한 바 있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자율과 협력을 기반으로 민간 부문의 여성대표성 제고를 위하여 노력할 것입니다.

문의: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 권익지원과 02-2100-639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