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다중이용시설 미세먼지 자료공개 시스템 문제점 보완

2019.03.07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환경부는 “보수·점검으로 인해 측정정보가 공개되지 않는 측정소, 예정기간, 사유 등을 사전 공개 중”이라며 “다중이용시설 미세먼지 자료공개 시스템을 점검해 실내공기질 정보가 적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3월 6일 TV조선 <곳곳 보수, 하필 최악일 때 미세먼지 측정기 ‘먹통’>에 대한 설명입니다

.

[기사 내용]

① 최근 석달 보수·점검 등으로 측정정보를 알 수 없는 미세먼지 측정소가 23곳임

② 지하역사 등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측정정보 시스템 관리 허술

[환경부 설명]

①에 대하여: 측정자료의 신뢰도 제고 등을 위해서 일부 미세먼지 대기오염측정소(430개소 중 23개소) 보수·점검 중

○ 미세먼지 정보를 공개하는 ’에어코리아‘ 누리집 공지사항을 통해 데이터 미수신 지역, 측정소명, 예정기간 및 사유가 사전 공개 중임

○ 향후 미세먼지가 높은 기간을 피해 측정장비의 보수·점검을 실시하고, 불가피하게 보수·점검이 필요한 측정소는 조속히 조치하겠음

②에 대하여: 측정기기 가동상황 점검을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고 실내공기질 자료공개 시스템 운영상의 문제점을 보완할 예정

○ 「실내공기질 관리법」 제4조의6에 따라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측정망은 환경부와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음
 
 - 환경부(한국환경공단)에서 지하역사(수유·동대문·청담·화곡)를 포함한 34개 지점의 측정망 운영 중(’18년말 기준 가동률 94.5%)
 
 - 지자체에서 지하역사(서울시청·부산서면·대전역 등)를 포함한 39개 지점의 측정망 운영 중

○ 현재 운영 중인 지점별 측정기기에 대해 환경부는 지자체와 협력하여 신속한 보수·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겠음

○ 아울러, 온라인 자료공개 시스템을 점검하여 적시에 실내공기질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조치하겠음

문의: 환경부 생활환경과(044-201-6798), 대기환경과(044-201-688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