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복지사업 예타 기준, 완화 아닌 내실화

2019.04.04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복지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기준을 대폭 완화한 것이 아니라 더 좋은 사업이 선별될 수 있도록 세부항목을 강화해 평가를 내실화하겠다는 취지”라며 “각 항목별 평가를 통해 부적합하다고 판단이 되면 해당 사업은 예타를 통과하지 못한다”고 밝혔습니다.

4월 4일 한국경제(가판) <복지사업은 사실상 예타 ‘프리 패스’>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정부는 복지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기준을 대폭 완화하기로 했다.

최근 10년간 복지지출 규모가 두 배 이상 증가한 상황에서 최소한의 안전장치마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기재부 설명]

□ 복지사업의 예타 통과 기준을 대폭 완화한 것이 아니라 세부 평가항목을 강화하여 평가를 내실화하고, 더 좋은 사업이 선별될 수 있도록 평가를 강화하겠다는 취지임

ㅇ 경제사회 환경 분석을 통해 경제규모, 사회제도 발전단계를 감안했을 때 해당사업이 필요한지, 재정에 미치는 영향은 얼마나 큰 지를 따져보고 

ㅇ 수혜계층이나 전달체계는 문제가 없는지, 대안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살피면서

ㅇ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을 철저히 점검하겠다는 취지임

□ 상기와 같이 경제사회 환경 분석, 사업설계의 적정성, 비용-효과 분석 각 항목별 평가를 통해 부적합하다고 판단이 되면 해당 사업은 예타를 통과하지 못하는 것임

* 세 항목이 모두 85점 이상이면 적정두 항목 이상이 70점 미만이면 전면재기획 후 재요구(미통과)

□ 복지사업에 대해서 사업에 대한 타당성여부 검토가 오히려 더 꼼꼼하고 철저해질 것으로 기대됨

문의 : 기획재정부 타당성심사과(044-215-541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