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LNG 발전 대기오염물질 저감 적극 추진

2019.04.09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LNG 발전량 증가는 원전 발전량 감소 때문으로, 국내 발전사들은 LNG 발전의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해 적극 노력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LNG 발전의 일산화탄소 및 미연탄화수소는 정상 운전시에는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며 “향후 환경부와 협의해 실태조사와 저감 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4월 9일 한국경제 <10년간 주민 호소에도… 발전사 “문제없다” 묵살>, <이제서야… 정부 “LNG 발전소 유해물질 배출 조사”>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정부가 탈원전 기조아래 “LNG 발전은 친환경”이라는 이미지 유지를 위해 기동초기의 오염물질 배출 대처에 소극적이었다는 지적

[산업부 설명]

□ 정부가 탈원전 기조 하에 LNG 발전 확대를 위해 LNG 발전소의 환경오염 문제에 대처에 소극적이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님 

ㅇ 최근 LNG 발전량 증가는 원전 정비 일수 증가에 따른 원전 발전량 감소 때문이며, 에너지 전환 정책의 결과로 볼 수 없음

ㅇ 국내 발전사들은 LNG 발전에 대해 대기환경보전법 등 환경규제 법령 준수 및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해 적극 노력중 

* LNG 발전의 미세먼지 배출은 석탄발전 대비 1/8 수준이며, 추가적인 감축을 위해 탈질설비(SCR) 설치, 저녹스 버너 등 설치

□ 기사에서 언급된 LNG 발전의 일산화탄소 및 미연탄화수소는 기동초기가 아닌 정상 운전시에는 거의 배출되지 않음

ㅇ 현재 환경부도 가동개시 또는 재가동 후 설비 안정화 기간 동안 배출허용기준 적용을 면제(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8)하고 있으나, 

ㅇ 향후 환경부와 협의하여 대상 발전소에 대한 실태조사를 거쳐 저감 방안을 검토·마련해 나갈 계획

□ 아울러, 정부는 추가로 LNG 발전의 대기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금년 상반기 중 질소산화물(NOx) 배출허용기준을 약 2배 강화할 계획(환경부)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044-203-515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