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태양광으로만 달성하는 것 아냐

2019.04.09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2030 온실가스 감축 수정 로드맵’에 따르면 전환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 5780만 톤은 태양광 발전만으로 달성되는 것은 아니며, 전환 부문 확정감축량 2370만 톤은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석탄발전의 과감한 축소와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등을 통해 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4월 9일 서울경제 <“탈원전에 온실가스 감축 수兆 더 들수도”>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2030 온실가스 감축 수정 로드맵’의 전환 부문 감축량 5,780만톤을 태양광 발전으로 달성하려면 최대 11조원의 추가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정부는 수정 로드맵에서 감축목표로 확정된 2,370만톤에 더하여 잠정적으로 3,410만톤을 더 줄일 수 있다고 봤음

[산업통상자원부 설명]

‘2030 온실가스 감축 수정 로드맵’에 따르면 전환부문 온실가스 감축 목표량(5,780만톤)은 태양광 발전만으로 달성되는 것이 아님

전환 부문 확정감축량(2,370만톤)은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석탄 발전을 과감히 축소하는 한편,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 등을 통해 달성할 계획임

8차 수급계획을 통해서 이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요인에 대해서는 이미 밝힌바 있음
 * 22년까지 인상요인은 1.3%로 거의 없으며, ‘30년까지는 10.9% 발생

수정 로드맵에서 제시한 전환 부문 추가감축잠재량(3,410만톤)에 대해서는 감축 목표 및 수단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음

정부는 제9차 수급계획을 통해 ’20년 UN에 수정된 국가 결정기여(NDC)를 제출하기 전까지 감축 목표 및 수단을 확정할 계획임

에너지 전환은 온실가스 감축만을 위해서 추진하는 것이 아니고, 국민의 안전, 환경성, 경제성, 전력수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진하는 것임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 044-203-515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