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재생에너지 설치량·발전비중 등 지속 증가 추세

2019.04.11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재생에너지 투자금액 감소는 태양광모듈 등의 설비 단가하락이 주요원인 으로, OECD 국가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지속 증가하고 있다”며 “세계 각국은 태양광·풍력을 중심으로 한 재생에너지 집중 투자 가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4월 11일 조선일보 <1,500조원 쏟아부은 태양광의 그늘, 고작 2%>에 대한 설명입니다

재생에너지 설치량·발전비중 등 지속 증가 추세

  • 재생에너지 설치량·발전비중 등 지속 증가 추세 하단내용 참조
  • 재생에너지 설치량·발전비중 등 지속 증가 추세 하단내용 참조
  • 재생에너지 설치량·발전비중 등 지속 증가 추세 하단내용 참조
  • 재생에너지 설치량·발전비중 등 지속 증가 추세 하단내용 참조

[기사 내용]

전세계 재생에너지 투자액은 수년간 정체상태이고, 선진국 투자액은 2011년보다 48% 감소하였음

[산업부 설명]

□ 재생에너지 투자금액 감소는 기술개발, 생산량 확대 등에 따른 태양광모듈 등 설비 단가하락이 주요원인임

ㅇ 태양광 모듈단가는 ‘14년 0.64$/Watt에서 ’17년에는 절반 수준인 0.33$/Watt로 대폭 감소하였음

ㅇ 전세계 태양광 신규설치량은 ‘17년 98GW로 ’14년 40GW 대비 245%로 대폭 증가하였음

ㅇ 전세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은 ‘17년 26.5%로 ’14년 19.2% 대비7.3%p 증가하였음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 설치량, 발전비중 및 태양광 모듈단가 추이.
세계 재생에너지 투자, 설치량, 발전비중 및 태양광 모듈단가 추이.

□ OECD 국가의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량도 지속 증가하고 있음

OECD 재생에너지 발전량 추이.
OECD 재생에너지 발전량 추이.

□ 세계 각국은 에너지전환, 新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태양광·풍력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에 집중 투자 전망

* ’18∼’40년간 세계 발전설비 투자 전망(IEA, ’18) : 재생에너지 68.6%(8조불), 가스 9.7%(1.1조불), 석탄 9.4%(1.1조불), 원자력 9.3%(1.1조불)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산업과(044-203-537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