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암모니아 저감 등 농업·농촌 미세먼지 대책 강구

2019.05.02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농촌분야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 TF를 구축, 축산분야 암모니아 저감을 포함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5월 1일 KBS <미세먼지 공범 ‘암모니아’ … 관리는 뒷전>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미세먼지 생성물질인 암모니아의 국내 배출량은 연간 약 30만 톤, 이 가운데 70% 이상이 축산분뇨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정

ㅇ 정부의 암모니아 대책은 걸음마 수준, 새로운 오염원 파악과 함께 맞춤형 대책 필요

[농식품부 설명]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 이하 “농식품부”)는 농업·농촌분야에서 유래되는 미세먼지를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농업·농촌 미세먼지 대응 T/F」를 관계부처 합동(농촌진흥청, 산림청)으로 구성(3.13)하여 축산분야 암모니아 저감을 포함한 농업·농촌분야 미세먼지 저감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ㅇ 암모니아는 대기 중 질소산화물 또는 황산화물과 결합하여 초미세먼지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농업에서의 배출량 및 초미세먼지로의 전환기작 등은 과학적으로 구명된 바 없어 현재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 농식품부는 국내 암모니아의 주요 배출원으로 지적되고 있는 축산분야에서의 발생 저감을 위해 농가단위 축사·퇴액비 관리 강화 등 농가 지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ㅇ 광역단위 암모니아 관리 강화를 위한 광역축산악취개선사업 확대(‘19년 15개 지역→’22년 25개 지역)와 함께 농가 대상 ICT 암모니아 측정기(134개) 및 암모니아 저감시설* 보급, ‘축산 환경 개선의 날’을 시행(‘18.5~)하고 있으며,

* 축사내부 바이오필터, 바이오커튼, 안개분무시설 설치 등(‘19년 322억 편성)

ㅇ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암모니아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축사, 축산분뇨 관리* 등 농업인 행동요령을 안내책자를 제작, 배포(10만 부, 3.27)**하였습니다.

* 비상저감조치 발령 시 축산농가는 축사 내 깔짚 바닥 및 분뇨저장조, 퇴비사에 미생물제제 살포, 퇴비에 비닐(천막) 덮기, 악취저감시설 가동 최대화, 안개분무시설 가동 등 추진

** (참고) “미세먼지로부터의 농업인의 건강보호와 농축산물·시설관리방법을 알려드립니다”(농식품부 보도자료, ‘19.4.3)

ㅇ 금번 추가경정예산에도 가축분뇨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를 저감하기 위한 “퇴비 유통 전문조직 육성 사업” 등(112.4억)을 반영하였습니다.

□ 더불어, 앞으로 부숙된 퇴·액비만 농경지에 살포될 수 있도록 퇴비 부숙도 점검반(시군, 농축협 등)을 구성하고 농가 대상 부숙도 지도 요령 교육과 함께 퇴액비 집중 살포시기(3~5월, 9~11월)에 현장 지도·점검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ㅇ 경종분야에서도 암모니아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친환경농업을 확대하고, 비료사용처방서 준수와 완효성비료 사용 등을 통한 화학비료 과다시비를 방지해 나가겠습니다.

ㅇ 농식품부는 환경부와 「농업·농촌분야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협약」을 체결(4.22)한 바 있으며, 이를 토대로 농촌지역 암모니아의 배출원 및 배출량 규명에 대한 공동 조사연구를 실시하고, 보다 구체적인 암모니아 저감대책을 공동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정책과(044-201-152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