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상반기 중 민간위탁 노동자 근로조건 보호 가이드라인 마련 계획

2019.06.03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2020년까지 공공부문의 상시·지속적 업무 종사자 20만 5000명에 대해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18만 1412명을 전환결정하고, 그 중 13만 9536명을 실제 전환하는 등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3단계 민간위탁과 관련해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를 거쳐 자율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었다”며 “상반기중에 민간위탁 노동자 근로조건 보호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6월 3일 경향신문 <“매달 새 계약서 작성”… 노동자 삶 쪼개버리는 ‘쪼개기 계약’>에 대한 설명입니다

상반기 중 민간위탁 노동자 근로조건 보호 가이드라인 마련 계획

  • work_001 하단내용 참조
  • work_002 하단내용 참조
  • work_003 하단내용 참조
  • work_004 하단내용 참조

[기사 내용]

ㅇ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화는 ‘용두사미’로 끝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17년 7월 1단계 공공부문(중앙정부·자치단체·공공기관·지방공기업·국공립교육기관) 대상 기관 853곳의 비정규직 41만 5602명 중 18만 1412명(43.6%)을 전환결정했다. 전환결정 인원 중 실제 전환인원은 2019년 5월 현재 13만9536명(76.9%)이었다. (후략)

ㅇ 정부는 3단계 공공부문(일부 민간위탁 기관)은 사실상 정규직 전환을 포기한 모습이다. 정부는 지난 2월 이낙연 국무총리가 주재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민간위탁 업무를 남겨둔 채 노동 조건을 개선하겠다는 입장을 내왔다. 민간위탁을 유지하는 게 적절한지 개별 공공기관이 스스로 검토하게 할 예정이다.(후략) 

[노동부 설명]

□ 정부는 공공부문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17.7.20) 및 연차별 전환계획?(`17.10.24)을 발표하고, `20년까지 공공부문의 상시·지속적 업무 종사자 20만5천명*에 대해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각 기관에서 제출한 예상 전환규모(잠정전환규모) 17만5천명+추가전환 3만명

ㅇ이에 따라, `19년 5월 10일 기준 18만1412명(88.3%)을 전환결정하고, 그 중 13만9536명(76.9%)을 실제 전환하는 등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 3단계 민간위탁과 관련해서는 전면적인 민간위탁 실태조사와  전문가·관계부처 협의 등을 통해 민간위탁 정책추진방향을  마련(`19.2.27)하였습니다.

ㅇ 실태조사 결과* 민간위탁은 ①사무·운영실태가 다양하고, ②대부분 법령·조례에 근거하며, ③자치단체 고유사무가 다수이고, ④대국민 공공서비스 관련 사무 중심이며, ⑤수탁기관의 전문성 및 공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이 있었습니다.

* 위탁사무 10,099개, 수탁기관 22,743개, 종사자 195,736명, 예산 79,613억원

- 이러한 특징을 고려할 때 민간위탁은 1·2단계 정규직전환과는 달리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변경이 필요해 정책적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하므로,

- 일률적 기준 설정이나 구속력 있는 지침 시달보다는 소관 부처 등 책임있는 기관이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를 거쳐 자율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 다만, 청소, 경비 등 1단계 추진대상임이 명확함에도 개별 기관에서 민간위탁으로 오분류한 사무는 1단계 가이드라인에서 정한 절차와   방법에 따라 개별 기관에서 재검토하도록 하였고

ㅇ 민간위탁과 관련하여 사회적 논란이 있는 등 심층 논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소관부처 등 권한 있는 기관에서 타당성을 검토하도록 하였습니다.

□ 이와 함께 우선적으로 민간위탁 노동자의 근로조건 보호를 강화하면서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ㅇ 수탁업체 선정시 고용승계, 적정 정규직 비율 및 합리적 임금수준 유지 여부 등을 고려하도록 민간위탁 노동자 근로조건 보호 가이드라인을 상반기 중 마련할 계획입니다.

□ 고용노동부는 민간위탁 정책 설명회 개최, 설명자료 배포 등을 실시하였으며, 앞으로도 3단계 민간위탁 정책방향이 현장에서 잘 정착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문의 : 고용노동부 공무원노사관계과(044-202-7648), 공공기관노사관계과(044-202-767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