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 관련, “지난해 국정감사 등에서 영농정착지원금의 부적정 사용 사례에 대한 지적이 많아 현장 의견 수렴을 거쳐 불가피하게 지원금 사용범위에 대한 제한을 강화한 바 있다”며 “지원금 사용가능 업종 제한 등 청년농업인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제도개선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보도 내용]
최근 농식품부가 영농정착지원금 사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면서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 크게 제한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기사내용과 관련, 청년농업인 영농정착지원금 사용범위 변경 등 제도 개선 취지와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설명 드립니다.
지난해 국정감사 등에서 영농정착지원금의 부적정 사용 사례에 대한 지적이 많아, 청년창업농 등 현장 의견 수렴을 거쳐, 제도를 개선하면서 불가피하게 지원금 사용범위에 대한 제한을 강화한 바 있습니다.
지원금의 부적정 사용 사례를 일일이 나열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정책목적에 맞게 지원금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 금년부터는 지원금 사용가능 업종을 열거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적용 중입니다.
지원금 사용실태 분석 및 청년농 간담회 등 청년농들의 현장의견을 최대한 반영하여 농자재 구매, 마트, 주유소, 음식점, 병원 등 청년농들이 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업종을 포함하여 운영 중입니다.
* 사용가능 업종 : 가구, 가전제품, 주방용품, 유통업, 의류, 직물, 신변잡화, 학원, 자동차정비, 의료, 보건/위생, 일반/휴게음식, 음식료품, 건축/자재, 수리서비스, 농업 등
또한, 이베이코리아社와의 협업을 통해 6월부터 G마켓을 통해 바우처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였고 향후 다양한 온라인 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관련업계와 협의 중입니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과정 중에 청년농업인들이 현장에서 추가로 허용을 필요로 하는 업종에 대한 요구가 있어, 제도개선을 위한 의견을 수렴 중에 있습니다.
청년 농업인 대상 권역별 설명회(4.19~4.24, 5회) 및 간담회(6.4일)를 통해 정착금 사용범위 확대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현장에서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개선을 조속히 추진할 계획입니다.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경영인력과 044-201-1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