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단시간 취업자 비중이 증가한 이유는

2019.06.13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취업자의 근로시간은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라며 “특히, 근로시간 단축 시행 등 영향으로 ‘53시간 이상’ 장시간 취업자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36~52시간’ 취업자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실업자수는 인구 규모, 경기 및 노동시장 여건, 조사대상 기간의 ‘구직활동 여부’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결정된다”며 “실업자 수 변화만으로 고용 상황을 판단하기보다는 인구 요인을 고려한 비율 지표(실업률)를 활용하고, 전반적 취업 상황을 보여주는 ‘고용률’ 변화와 함께 고려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습니다.

6월 13일 서울경제, 한국경제, 중앙일보 등 <실업자 114만 최대…단시간 일자리 역대 최고 증가>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초단기 일자리로 쥐어짠 고용 반등>
○ 주휴수당을 피하려는 자영업자가 일명 ‘쪼개기 고용’에 나서면서 초단시간 근로자가 역대 최대 규모로 급증했다. <후략>

○ 전체 실업자는 114만명을 넘어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0년 이후 5월 기준으로 가장 많았다. <후략>

[설명 내용]

Ⅰ. 초단시간 근로자 역대 최대 관련

□ 취업자의 근로시간은 근로시간 단축,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

.

특히, 근로시간 단축 시행 등 영향으로 ‘53시간 이상’ 장시간 취업자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36~52시간’ 취업자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

.

□ ‘여성’ 및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하면서, 단시간 취업자(36시간 미만자, 1-17시간 취업자 모두)는 증가 추세가 뚜렷

○ 특히, ‘19.5월의 ‘1-17시간’ 취업 증가(+35만명)는 ’여성‘(+22.3만명), ’60대 이상‘(+14.4만명)을 중심으로 두드러졌으며,

○ 외국인 관광객 회복세, 정부 일자리 사업 등의 영향으로 ‘숙박음식업’(+8.2만명), ‘공공행정·보건복지업’(+10.4만명)에서 증가

.

□ 근로시간 단축 등 워라밸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시간제 일자리를 원하는 ‘여성’, ‘고령층’도 증가 추세
  * 자발적 시간제 비중(8월 기준, %): (‘11) 44.6 (’14) 47.7 (’17) 50.2  (’18) 52.1
    → 여성 자발적 시간제 비중(8월 기준, %): (‘11) 47.8 (’14) 49.8 (’17) 53.2  (’18) 56.0
  * 고령층 중 시간제 일자리 희망 비중(5월 기준, %): (‘11) 30.1 (’14) 33.3 (’17) 35.3  (’18) 37.7

Ⅱ. 5월 실업자수 역대 최대 관련

□ 5월 실업자수 114.5만명으로 5월 기준으로 200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라는 보도와 관련하여,

□ 실업자수는 ① 인구 규모, ② 경기 및 노동시장 여건, ③ 조사대상 기간의 ‘구직활동 여부’ 등에 의해 복합적으로 결정
 
○ (인구) 노동시장 여건이 동일하다면, 전체 인구가 증가할 경우 취업자수와 실업자수는 증가하는 경향
    * ‘19.5월 인구 증감(전년비, 만명) : (15세이상) +31.9 (15-64세) +1.4 (65세이상) +30.5
  - ‘19.5월 실업자수(114.5만명, +2.4만명)와 취업자 수(2,732.2만명, +25.9만명) 모두 규모면에서는 5월 기준으로 역대 최고
 
○ (경기) 인구가 동일하다면, 경기 후퇴시 취업자수는 감소하고 실업자가 증가하나, 반대로 경기 호조기에도 구인수요 증가로 인해 취업과 실업은 함께 증가할 수 있음
   - ‘취업’과 ‘실업’의 동반 상승은 ‘노동시장에 참여하고자 하는 자(경활인구)’가 늘어나고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 ‘19.5월 경제활동참가율(64.0%)은 ’99.6월 통계기준 변경(구직기준 1주→4주) 이래 최대
 
○ (구직활동) 조사대상 기간 대규모 채용 공고(공무원 시험, 정부 일자리사업 등)에 따른 원서 접수·응시* 등 ‘구직활동(지난 4주간)’이 증가하면 실업은 증가할 수 있음
   - 특히, 최근의 실업자 증가는 인구가 큰 폭으로 늘고 있는 ‘60세 이상’의 구직활동 증가(정부 노인일자리사업 등)에 기인
    * ‘19.5월 실업자 증감(전년비, 만명) : (전체) +2.4 (60세 미만) △2.4 (60세 이상) +4.8

□ 더불어, 실업자 수 변화만으로 고용 상황을 판단하기보다는 인구 요인을 고려한 비율 지표(실업률)를 활용하고,
 
○ 전반적 취업 상황을 보여주는 ‘고용률’ 변화와 함께 고려하여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

고용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044-202-725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