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반도체 소재 인·허가 신속처리 등 국산화 노력 적극 지원

2019.07.08 환경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환경부는“화학물질관리법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안전을 위해 지켜야하는 필수사항을 규정한 것으로, 공장 건설 자체를 제한하는 법이 아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연구용·시험용 시약은 수입신고와 영업허가를 면제하고, 시범생산용 시설에는 장외영향평가서 제출을 면제하는 등 신소재 개발 진흥을 위한 다양한 특례를 마련·운영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국민 안전과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담보하면서도 반도체 소재 관련 국산화 노력이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공장 신·증설에 따른 인·허가 심사를 신속히 처리하고, 중소·영세 기업에 규제이행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7월 8일 한국경제 <“반도체 소재 국산화 외쳤지만…환경규제로 ’골든타임‘ 놓쳤다”>, 국민일보 <공장 짓기도 힘든데…소재 국산화, 규제부터 풀어야>, 세계일보 <“불화수소 국산화 막은 것은 환경규제 강화 탓”>, 동아일보 <삼성-SK “불화수소 재고 최악의 상황” 반도체 기술 연구개발도 중단될 위기> 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7일 반도체산업구조선진화연구회는 ‘일본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 대응 방안 검토’ 보고서를 통해, △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는 환경 규제로 인해 국내 생산이 쉽지 않음, △ 업계에서도 에칭가스 자체 생산 포기를 권유하는 실정이라고 설명함

또한 대규모 제조업체들은 국내 재료 회사에 대해 기술력·비용 등을 이유로 기술지원에 대해 소극적이고, 차세대 재료에 대해서는 함께 개발하려 하지 않는다고 설명함

[환경부 설명]

화학물질관리법(이하 화관법)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이 안전을 위하여 지켜야하는 필수사항을 규정한 것으로, 공장 건설 자체를 제한하는 법이 아님

화학사고 예방을 위해 취급시설이 갖춰야 할 안전기준을 강화하였으며, 사고 시 사업장 밖 주민·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예측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제도적 장치(장외영향평가서)를 마련함

2015년 이후에도 많은 업종에서 공장 신·증설 등 화관법에 따른 영업허가를 취득한 사업장은 증가하고 있으며, 화학사고 발생은 줄고 있음

장외영향평가서, 취급시설 안전기준, 전문인력 등 화관법에 따른 규정을 준수하여 영업허가를 받은 사업장은 8,222개소(2014.12월)에서 14,676개소(2018.12월)로 대폭 증가하였으며, 화학사고는 113건(2015년)에서 66건(2018년)으로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임

또한 환경부는 소재 개발을 진흥하기 위하여 다양한 특례 적용 중

연구용·시험용 시약(유독물질, 제한물질)을 수입하려는 경우 수입신고·허가를 면제하고 있으며, 연구 목적으로 취급(사용·보관·운반·판매)하는 경우에는 영업허가를 면제하고 있음

또한 제조시설에서 새로운 제품을 시범생산 할 경우 물질변경에 따른 장외영향평가서 제출을 면제하는 등 기업이 보다 손쉽게 실험·연구를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보고서에서도 지적하였듯이 반도체 소재 국산화의 어려움은 ’제조사 자체의 기술적 한계‘, ’자체 생산 시 높은 가격‘, ’반도체 업계의 소극적 대응‘ 등 복합적인 요인에 근거함

특히 고순도 불화수소 제작시 안전·오염 관리 노하우 부족으로 기술 확보가 필요한 상태이며, 생산설비가 모두 일본제로 전량수입에 의존 중

아울러, 반복된 불산 누출사고*로 인한 지역 우려·민원 증가도 애로사항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환경부는 신청이 들어오면 합리적·과학적으로 검토하여 시설의 신·증설을 인·허가하고 있음
 * (예) 충남 R사(액상불산 취급업체)의 경우 ’14~‘16년간 3차례 불산 누출사고 발생

환경부는 국민 안전과 산업 경쟁력을 동시에 담보하면서도 반도체 소재 관련 국산화 노력이 원활히 이행될 수 있도록, 공장 신·증설에 따른 인·허가 심사를 신속히 처리하고, 중소·영세 기업에 규제이행 컨설팅을 제공하는 등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임

문의: 환경부 화학안전과 044-201-684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