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양파 공급과잉, 생산조정제 탓으로 보기 어려워

2019.07.15 농림축산식품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양파 공급과잉은 지난해보다 재배면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상호조로 인한 생산량 증가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생산조정제는 벼 재배기간 동안 다른 작물을 재배할 경우 보조금을 지원하는 사업”이라며 “마늘과 양파는 주로 벼 수확을 마치고 재배하기 때문에 시기적으로 차이가 있어 생산조정제가 직접적으로 양파 공급 과잉의 원인이 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7월 11일 경향신문 <쌀 줄이려다 마늘, 양파 파동 불렀나?>, 헤럴드경제 <文 공약이 부른 양파 파동, 정부의 무능 농정은 계속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경향신문) 쌀 공급과잉의 해소를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생산조정제(논 타작물 재배 지원 사업)가 양파와 마늘의 과잉생산을 이끌었고 결국 가격폭락 및 산지폐기 등의 사태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 (헤럴드경제) 쌀 재배량을 줄이고자 논에 마늘과 양파를 기르도록 유도한 결과가 가격 폭락으로 이어졌다는 것임

○ 올해 생산조정제에 따라 논에 마늘을 심은 면적(신청 기준)은 총 655.1㏊에 달했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으로 환산하면 해당 면적에서 마늘 8647톤이 생산돼 전체 과잉생산량 6만톤의 14.4%를 차지했다. 

○ 양파 역시 올해 생산조정제를 통해 248.1㏊의 논에서 재배됐다. 그 결과 논에서만 1만7143톤이 생산돼 전체 초과 물량 15만톤의 11.4%를 차지했다. 마늘 및 양파의 공급과잉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어졌다. 

○ 지난해는 661.3㏊의 논에서 마늘을 재배했으며, 양파는 301.6㏊에 심어졌다. 지난해 과잉생산량 중 마늘은 18.4%, 양파는 9.8%가 생산조정제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농식품부 설명]

□ ‘19년 통계청「농업면적조사」결과, 생산조정제(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첫해(출하기준)인 금년은, 사업을 시작하지 않은 전년에 비해 논 마늘 재배 면적은 134ha, 논 양파는 1,469ha 각각 감소하였음 

□ 금년도 마늘, 양파 생산과잉의 주요 원인은 전년보다 재배면적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상호조 등에 의한 생산량 증가에 의한 것임 

연도별 마늘, 양파 재배면적(단위 : ha)
연도별 마늘, 양파 재배면적(단위 : ha)

□ 생산조정제(논 타작물 재배 지원 사업)는 하계에 벼를 재배하지 않는 조건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며,

○ 벼는 마늘, 양파와 재배 시기가 달라 동 사업으로 인해 직접적인 마늘, 양파의 생산유발 효과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 ’18년「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이전의 대부분 논 마늘·양파 재배 농가들은 하계에 벼를 재배한 후 이모작(동계)으로 마늘, 양파를 재배하는 작부체계였음 

□ 다만, 현장에서 생산조정제(논 타작물 재배 지원 사업)로 인한 벼 이외 품목의 수급 불안에 대비하여 지자체 등과 함께 면밀히 수급상황을 모니터링 해나갈 계획임

문의 :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산업과(044-201-183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