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기사에서 ‘규제공무원’으로 언급된 분야의 인력은 공정경제·근로여건 개선 등을 위해 ‘생활안전 공무원’을 충원한 결과”라며 “앞으로도 현장 수요에 비해 공급이 충분치 않았던 국민의 생활·안전 분야 위주로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사 내용]
- 규제관련 부처의 공무원 수는 급증
- 2018년 기준, 공정위 직원은 694명으로 2016년 말(588명)보다 100명이상(18%증가) 늘었고, 환경부는 17.1%, 금융위는 11.6%, 고용부는 10.8% 증가하여 같은 기간 전체 국가공무원의 증가율(2.9%)을 훨씬 웃돌고 있음
[행안부 설명]
○ 해당기사에서 ‘규제공무원’으로 언급된 분야의 인력은 그동안 국민들의 요구가 많았던 공정경제 확립, 근로여건 개선 등을 위한 ‘생활안전 공무원’ 중심의 인력 충원에 따른 결과임
○ 앞으로도 문재인정부의 인력충원은, 그 동안 현장 수요에 비해 공급이 충분치 않았던 국민의 생활과 안전에 밀접한 분야 위주로 이루어질 계획임
◈ 주요 분야별 충원 현황 (’17.5~’18.12.)
○ (공정경제) 대기업 내부거래 감독 등(43명), 가맹점·대리점 보호(14명),기술유용 방지(4명), 불공정거래 신고사건 신속처리를 위한 현장인력 보강(25명) 등
○ (환경관리) 물관리 기능 이관(188명), 화학사고 예방(47명) 등
○ (금융선진화) 핀테크 등 금융혁신(8명), 금융빅데이터 지원(1명), 서민금융지원(6명), 금융소비자 보호강화(1명) 등
○ (근로여건 개선) 노동자 권익보호(765명), 고용상담·서비스개선(100명) 등
문의 : 행정안전부 조직기획과(044-205-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