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이주아동 출생신고 허용, 유엔 추가보고서에 ‘검토 중’으로 기술

2019.09.05 보건복지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포용국가 아동대책으로 의료기관에서 아동의 출생을 국가기관에 통보하도록 하는 ‘출생통보제’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면서 “다만, 한국 국적 아동 외 이주아동도 출생통보에 따라 출생신고(등록)를 허용할지에 대해서는 현재 도입 검토 중으로 이는 유엔 추가보고서 내 다른 부분에서 기술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아동권리협약은 당사국의 모든 기관이 아동최선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의무 규정으로, 입법기관의 활동까지 포함한 협약의 이행 상황을 보고서에 기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9월 3일 국민일보 <의원 법안이 정부 실적?… 정부, 유엔아동보고서 또 부풀리기>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부처 간 이견으로 이주아동까지 포함한 출생통보제 도입에 진전이 없음에도 제도 시행이 확정된 것처럼 유엔 추가보고서에 기술

○ 의원입법안으로 출입국관리법 개정안(이주아동 구금제한)이 국회에 제출된 것을 정부 성과로서 유엔 추가보고서*에 기술

* 9.18, 19일 유엔아동권리협약 심의(스위스 제네바) 예정으로 이를 위해 협약 이행상황과 이행 의지를 밝힌 국가보고서(‘17.12월), 추가보고서(’19.8월)를 유엔에 제출하였음

[복지부 설명]

1. 이주아동을 포함한 출생통보제 시행이 확정된 것처럼 기술했다는 부분

○ 정부는 ‘19.5월 포용국가 아동대책으로서, 의료기관에서 아동의 출생을 국가기관에 통보하도록 하는 ‘출생통보제’ 추진 계획 발표*

* 법무부는 올해 하반기까지 구체적인 도입 방향 결정을 위한 의견수렴 중 

- 다만, 한국 국적 아동 외 이주아동에 대하여도 출생통보에 따라 출생신고(등록)를 허용할지에 대하여는 현재 도입 검토 중으로 이는 추가보고서 내 다른 부분에서 기술*

* “정부는 외국인 아동 등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외국인 아동 등에 대한 ) 출생등록제 도입이 필요함을 공감하고 제도 도입 및 운영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2. 국회 제출된 의원입법안을 정부 성과로 기술했다는 부분

○ 아동권리협약은 당사국의 입법기관, 행정당국 등 모든 기관이 아동최선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할 의무 규정(협약 제3조) 

- 의원입법안의 입법 단계 등 입법기관의 활동까지 포함한 협약의 이행 상황을 보고서에 기술 필요

문의 :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044-202-382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