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기업특성별 임금분포현황, 기존통계 분석·재가공 공표

2019.09.06 고용노동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고용노동부는 “기업특성별 임금분포현황은 기존에 공개되던 임금 관련 통계를 기업 특성 및 노동자 속성을 기준으로 분석·재가공해 공표하려는 것”이라며 “이는 그동안 없었던 통계를 새롭게 조사해 공표하는 것이 아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기업규모·산업 등 특성별 임금수준과 격차에 대한 정보 제공은 임금격차 완화를 위한 공감대 확산과 함께 자율적인 노력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덧붙였습니다.

9월 6일 한국경제 <대기업-中企·대졸-고졸 ‘임금差’ 낱낱이 공개… “사회갈등 더 커진다”>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업특성별 임금분포현황, 기존통계 분석·재가공 공표

  • 00 하단내용 참조
  • 01 하단내용 참조
  • 02 하단내용 참조
  • 03 하단내용 참조

[기사 내용]

○ 정부가 업종별, 기업규모별 임금을 공개하기로 했다. 평균임금뿐 아니라 상위 25% 및 하위 25% 근로자가 얼마를 받는지, 대졸과 고졸의 임금 차이는 얼마인지 등도 알 수 있게 된다. (후략)

○ (전략) 1인 이상 사업체 중 33,000곳의 임금분포를 조사하며 근로자 100만 여명이 대상이다. (후략)

○ (전략) 상당수 중소기업은 “최저임금 인상과 주 52시간 근로제 부담이 여전한데 정부가 또 다른 시한폭탄을 던진 것 같다”며 불안해하고 있다. (후략)

[고용부 설명]

□ 9.5(목) 당정협의를 통해 발표된 ‘기업특성별 임금분포현황 공표’는,

ㅇ 현재 우리부와 노동연구원이 공동으로 운영 중인 임금정보시스템(wage.go.kr)이 제한적인 변수를 활용한 검색방식으로 인해 충분한 임금 및 격차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 하에,

ㅇ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등 기존에 공개되던 임금 관련 통계를 기업 특성(규모·산업 등) 및 노동자 속성(성·고용형태·근속년수 등)을 기준으로 분석·재가공하여 공표하려는 것으로,

* 매년 6월말을 기준으로 1인 이상 약 33,000개 기업('18년 기준 임금노동자 약 97만명)의 고용형태별 근로시간·임금 등을 조사하여 익년 4월경 발표

ㅇ 그 동안 없었던 통계를 새롭게 조사하여 공표하는 것이 아님

□ 최근 노동시장 내 임금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긴 하나, 여전히 대·중소기업 간, 성별·고용형태 등에 따른 임금격차*가 심각한 상황에서

* 300인 이상 정규직 시간당 임금총액 대비 300인 미만 정규직은 56.8%, 남성 대비 여성은 67.8%,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은 68.3%('18.6 기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ㅇ 기업규모·산업 등 특성별 임금수준과 격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임금격차 완화를 위한 공감대 확산과 함께 자율적인 노력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

□ 앞으로도 정부는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사회안전망 확충, 직업훈련 혁신 및 적극적인 노동시장 정책을 통한 격차 개선과 함께,

ㅇ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내에 설치 예정인 ‘양극화 해소와 고용+위원회’ 등을 통해,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와 격차 완화를 위한 사회적 공감대 확산 노력도 적극 지원하겠음

문의 : 고용노동부 노사협력정책과(044-202-760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