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전체 체당금 증가 추이, 예년과 비슷한 수준

2019.09.09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소액체당금 지급액은 크게 증가했지만 일반 체당금이 감소추세로 전체 체당금 증가 추이는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9월 9일 서울신문 <정부가 체불 임금 대신 주는 ‘체당금’ 5배↑>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19.9.9.(월) 서울신문은 「정부가 체불 임금 대신 주는 ‘체당금 5배↑」 제하 기사에서

  ㅇ “‘소액체당금’ 지급액이 최근 크게 늘었다. 경기상황이 나빠져 기업의 임금 지불 능력이 그만큼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라고 하면서,

  ㅇ “지급 처리 기간을 7개월에서 2개월 이내로 줄였고 지급액 상한도 400만원에서 1,000만원까지 확대했다. 개선된 제도가 지난 7월부터 시행됐기에 올해부터 소액체당금 지급액은 과거보다 더욱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보도

[기재부 입장]

□ 소액체당금(‘15.7월 도입) 지급액은 크게 증가하였으나, 일반체당금이 감소추세에 있어 전체 체당금 증가 추이는 예년과 비슷한 수준

 * 일반체당금 : 도산 사업장에서 퇴직한 근로자에게 일정범위 체불금액 지급 소액체당금 : 도산+가동사업장에서 퇴직한 근로자에게 일정범위 체불금액 지급 

 ** 체당금 지급 규모 : (‘15) 2,979억원 →(’16) 3,687억원 →(‘17) 3,724억원 →(’18) 3,740억원 →(‘19.7) 2,237억원

  ㅇ 이는 일반체당금의 상당 부분이 소액체당금으로 대체된 것으로 분석

  ㅇ 아울러, 그간 체불근로자 생계보장 강화를 위해 소액체당금 상한액을 지속적으로 인상한 결과 소액체당금 지급액이 증가한 측면도 있는바,

 * (‘15.7월) 300만원 →(’17.7월) 400만원 →(‘19.7월) 최대 1,000만원

 - 단순히 경기 상황 악화에 따라 소액체당금 지급액이 증가한 것으로 볼 수만은 없음

 □ 한편, 소액체당금 지급절차 간소화(7→2개월)는 관련 법률안이 국회 환노위에서 계류 중에 있는 상태

문의 : 기획재정부 고용환경예산과(044-215-7235), 퇴직연금복지과(044-202-756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