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저소득층 소득증대 등 분배개선 정책노력 확대

2019.09.10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우리나라의 정책을 통한 분배개선율은 OECD 평균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상황이며, 급속하게 진행중인 고령화로 시장의 분배악화 압력은 더욱 가중될 전망”이라며 “이에 저소득층 소득개선 등 분배개선을 위한 정책노력을 확대해나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향후 정책방향을 1분위 소득 개선에 중점을 두고 이를 바탕으로 5분위배율 개선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습니다.

9월 9일 조선일보 <정부 보조금 빼면… 작년 빈부격차 6배 아닌 11배>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ㅇ 정부가 공식적으로 활용하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기준으로 지난해 5분위배율은 6.12배이나, 정부 지원금 등을 제외한 균등화 시장소득 기준 5분위배율은 11.13배로 5.01배p 상승

ㅇ 세금을 동원한 소득불균형 해소는 한계가 있으며, 경제활성화를 통한 1분위소득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언급

[기재부 설명]

① 한 나라의 소득분배상황은 시장소득보다는 처분가능소득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

* 처분가능소득 = 근로소득 + 사업소득 + 재산소득 + 이전소득 - 공적이전지출

ㅇ 최근 균등화처분가능소득기준에 따른 소득5분위배율은 소폭 확대되었으나, 지난해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15년 이후 지속되어 온 급격한 확대 추세가 완화

* 5분위배율(2/4분기 기준): (16)4.51(+0.32) (17)4.73(+0.22) (18)5.23(+0.5) (19)5.30(+0.07)

* 지난해에는 1분위소득이 크게 감소하며 5분위배율이 확대되었으나 금년에는 1?5분위소득이 모두 증가했으나 1분위 소득이 상대적으로 덜 오르면서 5분위배율이 확대되었고 확대폭도 축소되는 등 양태 변화

② 정부가 소득분배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하는 것은 전세계적 공통현상으로, OECD국가의 정부정책을 통한 분배개선율은 30% 수준을 상회

* 지니계수개선율(OECD Stat, %): (덴마크)41.7 (독일)41.8 (프랑스)43.6 (핀란드)48.0((시장소득지니계수-처분가능소득지니계수)/시장소득지니계수*100)

ㅇ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정책을 통한 분배개선율은 12% 수준(‘17년)으로 OECD 평균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상황

OECD 국가의 지니계수 개선율.
OECD 국가의 지니계수 개선율.

ㅇ 주요국에 비해 급속하게 진행중인 고령화는 더욱 빨라지며 시장의 분배악화 압력은 더욱 가중될 전망

* 은퇴인구(60세진입인구, 만명, 주민등록인구) : (‘16)68.9 (’18)77.2 (‘19)84.6 (’20)91.7 (‘21)90.9 (’22)87.7

※ (참고) 고령화 진행상황 및 영향.
※ (참고) 고령화 진행상황 및 영향.

③ 이에 정부는 저소득층 소득개선 등 분배개선을 위한 정책노력을 확대해나가고 있음

ㅇ 기초·장애인연금 인상(‘19.4월) 등 저소득층 지원정책 노력으로 이전소득이 확대되며 1분위 소득개선을 뒷받침

* 1분위 소득증감률(전년비, %): (’18.1/4)△8.0 (2/4)△7.6 (3/4)△7.0 (4/4)△17.7 (‘19.1/4)△2.5 (2/4)0.0

* 1분위 이전소득(전년비, %): (18.1/4)21.6 (2/4)19.0 (3/4)19.9 (4/4)11.0 (’19.1/4)5.6 (2/4)9.7

* (기초연금) 소득 하위 노인의 기초연금을 25→30만원으로 인상(장애인연금) 생계ㆍ의료급여 대상 중증장애인의 기초급여액을 25→30만원으로 인상

ㅇ 정부 정책으로 인한 분배 개선효과가 1·2분기 모두 각 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 기록

정부 정책으로 인한 분배 개선효과.
정부 정책으로 인한 분배 개선효과.

④ 정부는 향후 정책방향을 1분위 소득 개선에 중점을 두고 이를 바탕으로 5분위배율 개선 노력 강화해 나갈 계획

ㅇ 경제활력 제고 통한 일자리 창출 및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에 주력 

ㅇ 1분위가구 이전소득 지원을 위해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등 기초생보 사각지대 해소, 실업부조 도입과 EITC 확대 등 고용안전망 강화, 기초연금 강화 등 추진

ㅇ 인구 T/F를 통해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방안 지속 발굴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정책기획과(044-215-281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