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PPP 적용된 2016년 수치·미적용 2020년 전망치 단순 비교…사실 관계 달라

2019.10.02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수출 전망과 관련, “기사는 구매력평가(PPP)가 적용된 2016년 수치와 구매력평가가 적용되지 않은 2020년 전망치를 단순 비교해 사실 관계를 잘못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10월 1일 문화일보 <“韓 수출액 4위→8위 하락 예상... 332조원 줄고 日에 역전당할 것”>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19.10.1.(화) 문화일보는「“韓 수출액 4위→8위 하락 예상…332조원 줄고 日에 역전당할 것”」제하 기사에서

 ① OECD에 따르면 한국 상품·서비스 수출액은 ‘16년 9,803억달러(50개국 중 4위)에서 ’20년 7,026억달러(46개국 중 8위)로 하락하여 4년 만에 수출액이 2,777억 달러(약 332조원) 감소한다고 보도

 ② 반면, 일본 수출액은 ‘16년 7,724억 달러(6위)에서 ’20년 8,995억달러로 4위를 기록하며 한국과의 순위가 역전될 전망이라고 보도

[기재부 입장]

 □ 기사는 구매력평가(PPP)가 적용된 ‘16년 수치와 구매력평가가 적용되지 않은 ’20년 전망치를 단순 비교하여 사실 관계를 잘못 파악하고 있습니다.

    * 기사에서 언급하는 ‘16년 수출액 및 순위는 구매력평가 환율이 적용된 수치, 반면 ’20년 수출액 및 순위는 구매력평가 환율이 아닌 명목 환율이 적용된 수치

  ※ 아래표에서 동일한 기준에 따라 (B)와 (C)를 비교해야 하나 기사는 (A)와 (C)를 비교하고 있음

 ㅇ OECD에 따르면 명목 환율 기준 ‘16년 우리나라의 상품 및 서비스 수출은 6,434억달러, ’20년 전망치는 7,026억달러입니다.

 * 日 명목환율 기준 ‘16년 상품·서비스 수출 7,866억달러, ’20년 전망치 8,996억달러

ㄴ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044-215-273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