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시·도교육청 재정지원, 특별교부금 규모따라 변동

2019.10.07 교육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교육부는 시·도교육청 평가와 관련 “지방교육자치 강화 흐름에 맞춰 획일적인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기보다는 지역여건에 맞는 창의적인 교육정책이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평가 제도를 개선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그동안 평가에 따른 재정지원은 연간 특별교부금 잔액을 재원으로 활용하면서 그 규모가 변동돼 온 것으로 교육감 반발로 인해 규모가 축소돼 왔다는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덧붙였습니다.

10월 7일 조선일보 <좌파 교육감 “줄세우기” 반발에 1400억원 차등 지원금 결국 폐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보도 내용]

교육부가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에 지급하는 지원금 가운데 유일하게 각 교육청의 성과에 따라 차등 지급하던 ‘평가 지원금’이 폐지됐다.

교육청 간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성격의 지원금이었는데 “차등 지급은 줄 세우기”라는 좌파 교육감들의 반발에 밀려 매년 규모가 줄어들더니 결국 올해부터 사라지게 됐다.

[교육부 설명]

교육부는 시·도교육청 평가 운영의 취지를 고려하여 평가결과에 따른 재정지원을 ’19년부터 일몰하였습니다.

교육부는 지방교육자치 강화 흐름에 맞추어 획일적인 기준으로 순위를 정하기보다는 지역여건에 맞는 창의적인 교육정책이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평가 제도를 개선하였습니다.

※ 주요 개선내용(’18년) : 시·도교육청 자체평가 도입, 교육부 주관 평가 축소, 평가 예측성 강화, 평가결과에 따른 환류 기능 확대 등

이에 따라 시·도교육청 평가결과는 평가영역별 총평 및 우수사례, 시·도교육청별 총평으로 공개하여 구체적인 정책사례를 안내하고 정책 환류를 지원하고자 하였습니다.

’18년 예외적으로 평가결과가 공개되지 않았던 이유는 평가제도가 개편되면서 시범평가 형태로 운영되었기 때문입니다.

※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13조제4항의 비공개사유에 해당

과거의 차등적 재정지원 방식은 우수사례 환류 중심으로 변화된 평가에 부합하지 않는 측면이 있어 일몰 방침이 결정되었습니다.

한편, 그간 평가에 따른 재정지원은 연간 특별교부금 잔액*을 재원으로 활용하면서 그 규모가 변동되어 온 것으로, 교육감 반발로 인해 규모가 축소되어 왔다는 보도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18년 개정 전) 제5조의2 제1항에 따라 재해대책수요 특별교부금이 사용되고 남은 잔액으로 평가결과에 따른 지원금액 교부

총 지원규모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여건에 따라 매년 변동하였고, ’13년까지 1,400억원 이상이 지원되었다는 보도내용과 달리 ’13년 이전에도 400~1,400억원으로 지원규모가 다양하였습니다.

또한, 교육청별 지원규모는 최저액과 최고액 간 평균 1~3배 차등 수준으로 지급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교육부는 시·도교육청 평가를 내실 있게 운영하여 교육정책의 책무성을 확보하는 한편, 지방교육자치가 더욱 성숙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예정입니다.

문의: 교육부 학교혁신정책과 044-203-644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