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방재정 책임성 확보 위한 다양한 방안 추진

2019.10.10 행정안전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안전부는 ‘행안부가 지방재정 감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기사와 관련해 “지방재정 운용의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방재정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또한 공개 및 주민참여를 통한 자율통제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증가는 대규모 국고보조사업 추진에 따른 국고보조금 및 대응 지방비 증가가 반영된 것”이라며 “국가책임 강화가 필요한 국고보조사업에 대해서는 지방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덧붙였습니다.

10월 10일 조선일보 <100억짜리 유령빌딩… 지방재정 줄줄샌다>, <240억 전시관, 관람객 드문드문... 논밭 사이 공원엔 7억 화장실> 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행정안전부는 지방재정 감시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내용을 포함

[행안부 설명]

<지방재정 책임성 확보 관련>

○ 지방재정 진단·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강화

- (지방재정 분석 및 위기관리제도) 지방재정 위기를 선제적으로 예측·대응하기 위해 자치단체 주요 재정지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 시 재정주의 또는 위기단체로 지정·관리하고 있음

* 예산대비 채무비율, 지방세 누적 징수율, 통합재정수지 적자비율 등

- (지방재정 투자심사) 지자체 주요 투자사업*에 대해 사업 타당성, 재원 대책, 국가계획 부합성 등을 심사하고 있으며, 앞으로 시도에서 심사한 시군구 사업**에 대해 추진이력을 매년 점검·공개하도록 할 예정

* (중앙 투자심사 대상사업) 광역단체 300억원 이상, 기초단체 200억원 이상 사업

** (시도 투자심사 대상사업) 기초단체 총사업비 60억원 이상, 200억원 미만 사업 등

- (차세대 지방재정·지방세 시스템 구축) 시스템 개선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분석 방식으로 전환, 선제적 관리기반 구축 추진 중

○ 주민참여 및 공개를 통한 간접통제 강화

- (주민참여예산제) 자치단체별 예산 전 과정에서 주민이 참여하는 제도를 마련·시행(지방재정법 제39조) 하고 있으며, 주민의견서를 재정공시 항목에 추가하는 등 제도개선을 위한 법률 개정(법사위 계류 중)을 추진 중임

- (예산바로쓰기 감시단) 일반국민, 전문가, 주민참여예산위원 등으로 구성된 감시단*을 통해 자치단체 예산낭비 사례를 신고 받고 있으며, 신고 주요내용을 ’19년 연말부터 공개하여 책임성을 확보할 예정임

* 예산바로쓰기 국민감시단 245명, 시·도별 감시단 906명

- (지방재정 정보공개) ‘지방재정365’ 운영으로 지방재정에 관한 주요 정보, 국민관심 정보 등을 공개 중이며, 공개항목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음

* 2019년 기준 국외여비, 행사·축제 경비 등 6개 예산항목 별도 추가 공시

- (결산공시 강화) 결산 핵심정보(자산, 부채 등)를 알기 쉬운 보고서로 작성하여 주민에게 제공, 투명성을 제고하고 있음

○ 지방보조금 관리 강화

- (감사 전담조직) 보조금 부정수급 방지 등을 위해 17개 시·도 보조금 전담팀(68명)을 설치(~’19.2월)하여 감시·교육·홍보 등을 강화하고 있음

- (법령·시스템 정비) 지방보조금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지방보조금관리법」제정,「지방보조금 통합관리시스템」개발·구축*을 추진 중임

* 지방보조사업 정보 공시, 자치단체 간 공유 및 국고보조금시스템과 연계 강화 등

○ 향후 지방재정의 책임성·건전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 공개, 시스템 정비 등 관련 제도들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 국고보조사업에 대해서는 재정당국 및 소관부처에서도 사전·사후 책임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가겠음

<자치단체 복지예산 증가 관련>

○ 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 증가는 대규모 국고보조사업 추진에 따른 국고보조금 및 대응 지방비 증가가 반영된 것임

※ 기초연금 등 주요 복지사업(기초연금, 기초생활보장, 장애인연금, 무상보육, 아동수당) ’11년 대비 ’19년 예산 약 23.3조원이 증가

○ 전국 공통·현금성 복지사업 등 국가책임 강화가 필요한 국고보조사업에 대해서는 지방 부담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나가겠음

문의 : 행정안전부 재정정책과(044-205-371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