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전세계 외국인 직접투자 감소...한국은 지난해 사상 최대치 기록

2019.11.04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전세계 외국인 직접투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외국인 직접투자는 최근 크게 증가해 2018년에는 269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11월 4일 한국경제 <韓, 법인세 올려 외국인투자 급감, 佛, 잇단 감세…사상 최대 투자유치>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정부는 올해 한국의 외국인 직접투자가 최대 200억불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14년 190억불 이후 제일 낮은 규모

 ㅇ 전문가들은 이러한 감소를 인건비 상승과 주 52시간 근로제 도입 등 기업투자 여건 악화와 법인세율이 오른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범정부 차원의 투자유치 노력도 거의 없음

[산업부 입장]

□ 미·중 무역분쟁, 브렉시트 등 불확실성 증가로 전세계 외국인 직접투자는 최근 3년간 연평균 13.2% 감소*

 * 글로벌 FDI(조불): [‘07]2.17→…→[‘15]1.68 → [’16]1.55 → [‘17]1.43 → [’18]1.10

ㅇ

□ 글로벌 외국인직접투자 감소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18년 269억불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4년 연속 200억불’ 달성

 ㅇ 특히, ’13~’16년간 3분기 누적 외국인직접투자는 연평균 130억불 수준이었으나, 문재인 정부 출범후 최근 3년간(’17~’19년) 연평균 154억불로 크게 증가함

ㅇ

 ㅇ 투자의 질적 측면에서도 첨단소재·부품, 클라우드, 핀테크, 바이오헬스 등 첨단 신산업 분야의 투자 비중이 증가

 * 신산업 FDI(억불): (‘13)42 → (‘14)57 → (’15)68 → (’16)67 → (’17)75 → (‘18)119
 * 신산업 FDI비중(%): (‘13)29 → (‘14)30 → (’15)32 → (’16)31 → (’17)32 → (‘18)44

 ㅇ 세계은행, 블룸버그 등 해외 주요기관에서도 한국의 투자환경에 대해 긍적적으로 평가

  * 세계은행, 최근 6년 연속으로 한국의 기업환경을 전세계 Top 5로 평가했으며, 미래 생산성을 타나내는 인적자본지수도 세계 2위로 평가

 * 블룸버그, 국가의 혁신력을 평가하는 혁신지수 1위 국가로 한국을 6년 연속 선정

□ 정부는 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한 국내·외 투자유치활동과 접촉면 확대, 애로해소를 위한 소통 노력을 지속 추진중임

 ㅇ 금년 3월 대통령 주재 외투기업인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지속적인 외투기업과의 소통*을 통해 투자·경영상 애로해소에 노력하고 있음

 * 대통령 주재 외투기업인과의 대화(’19.3월), 통상교섭본부장 주재 미국계 외투기업 간담회(’19.6월) 및 소재·부품·장비 외투기업 간담회(’19.9월) 등

 ㅇ 해외 투자가와 접촉하여 신규투자 수요를 발굴하는 해외 IR*과, 旣투자기업의 증액투자 수요를 확보하는 국내 IR**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 말련·싱가포르(’18.3월), UAE·쿠웨이트(’18.4월), 미국(’18.5월), 일본(’18.6월), 프랑스(’18.10월), 중국(’18.12월), 호주·뉴질랜드(’19.2월), 미국(’19.3월), 독일(’19.9월) 등

  * 지역순회 투자유치활동인 외투카라반(’18.5월부터 7회 개최), 우수외투기업 표창수여 및 성공사례를 공유하는 외투기업인의 날(’18.2월부터 9회 개최) 등)

□ 향후, 정부는 ‘5년 연속 200억불’ 목표 달성을 위해 외국인투자주간 투자가 라운드테이블(11.5), 미국 투자유치활동(11월), 동남권 외투카라반(12월) 등 다각적인 투자유치활동을 전개할 계획임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투자유치과(044-203-4086)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