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청년저축계좌, 참여이력 등 확인해 중복가입 방지

2019.11.05 보건복지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보건복지부는 “근로빈곤층 청년의 자립을 돕기 위해 자산형성 지원 사업을 확대·강화하는 청년저축계좌 도입을 추진했다”면서 “그동안 차상위 계층의 청년에 특화된 자산형성 사업이 없다는 지적에 따라 시행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저소득층을 집중지원하는 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유사사업 간 중복 가입을 방지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11월 4일 서울경제 <청년통장있는데 또 청년저축… 정부·지자체 ‘현금복지’ 경쟁>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보건복지부 청년저축계좌는 서울, 전남 등 지자체에서 시행 중인청년대상 자산형성 사업과 수혜대상과 사업내용이 유사함

○ 복지 사업의 효율성 제고 측면에서 통합적인 관리 체계가 절실함

[복지부 설명]

○ 정부에서는 근로빈곤층(차상위계층) 청년의 기초생활수급자로의 진입을 예방하고 빈곤의 대물림을 방지하는 등 자립을 돕기 위해 취업 및 일자리 지원과 더불어 자산형성 지원 사업을 확대·강화하는 취지에서 청년저축계좌 도입을 추진하였습니다.

○ 자산형성지원사업은 매우 실질적인 탈빈곤 촉진책*으로 보건복지부에서는 현재 생계급여 수급자 대상 사업(희망키움통장Ⅰ(’10~) 및 청년희망키움통장(’18~))과, 차상위자 대상 사업(희망키움통장Ⅱ(’14~))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희망키움통장Ⅰ 가입자 중 탈수급 성공률은 63.9%으로 희망키움통장 비가입자의 탈수급률(39.3%)보다 1.63배 높음(’13.1~’16.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특히 차상위 계층의 청년에 특화된 자산형성 사업이 없다는 그간의 지적에 따라, 저소득 청년층에게 희망의 사다리가 될 수 있도록 청년저축계좌를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 청년저축계좌는 주로 임시·계약직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하고, 기준중위소득 50% 이하의 저소득층을 집중지원**한다는 점에서 더 가난한 사람에게 집중 지원하여 빈곤탈출을 돕는 사업입니다.

*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주요 대상이 중소기업 정규직 신규취업자임

** 지방자치단체 유사사업은 기준중위소득 80~120%까지 더 높은 소득계층 지원

○ 중복수급 우려와 관련해서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유사 사업 참여이력 등을 확인해 중복 가입을 방지할 예정입니다.

문의 : 보건복지부 자립지원과(044-202-307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