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경제전망 불투명 상황서 감세 조치, 지출증가로 연결되지 않을수도

2019.11.05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는 모두 총수요 증대효과가 있으나, 경제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감세조치는 소비·투자 등 지출증가로 연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2017년 미국 감세효과에 대한 최근 보고서는 감세정책 효과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다”고 밝혔습니다.

11월 4일 <한경연 “세금 100원 줄여주면 연간 GDP 102원 늘어나”>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2019.11.4.(월), 한국경제연구원은 「감세승수 추정과 정책적 시사점」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에서 “세금 100원 줄여주면 연간 GDP 평균 102원 증가”한다는 내용 발표

 ㅇ 조세승수(1.02)는 정부지출승수*(0.58)의 1.8배 수준

   * 한경연은 재화·용역구입 정부지출 승수를 추정함

 ㅇ 재화와 용역구입 정부지출은 주로 소비·투자·수입의 직접적 통로를 통해서만 GDP 영향

   - 반면, 감세는 가용재원 증가에 따른 투자촉진 등 직접효과 외에도 경제활동 참여 인센티브도 높이므로 더 크게 나타난다고 주장

w

[기재부 입장]

□ 조세 및 정부지출승수는 경제모형에 따라 결과에 차이

 ① 조세재정연구원 분석*  * 조세·재정정책의 거시경제효과 분석(’17.12월)

   。세입감소 정책보다 세출증가 정책이 GDP를 더 크게 증가

ㅇ

 ② 한국은행 분석*

    * 새로운 재정지출 식별방법을 이용한 우리나라의 정부지출 승수효과 추정(’19.9월)

   。누적 정부지출 승수는 충격이 가해진 4분기 이후 가장 큰 값을 가진 후 서서히 감소 → 5년이 지나도 1보다 큰 값

   。 5년 누적 정부지출 승수효과는 1.27

 ③ 감세와 재정지출 확대는 모두 총수요 증대효과가 있으나, 경제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감세조치는 소비·투자 등 지출증가로 연결되지 않을 가능성

    * 기업의 투자는 법인세 뿐 아니라 대내외 경제여건, 전략적 의사결정 등에 크게 영향

□ ’17년 美 감세효과에 대한 최근 보고서(IMF, 美의회조사국)는 감세정책 효과에 대해 부정적 평가

 ① (IMF) 미국 500대 기업 분석 보고서에서 감세조치에도 투자는 충분히 증가하지 않았다고 분석(’19.5월)

   。감세정책 이후 기업은 보유 현금의 80%를 주주에게 배분하였으며, 자본적지출, 연구·개발 등 실질적 투자에는 20%만 사용

   。‘17년 감세법안통과後 기업투자가 증가하였으나 투자증가는 법인세 감세가 아닌 미래 매출성장 기대가 주원인

 ② (美의회조사국)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조치*가 미국의 경제성장에 거의 기여하지 않았다고 분석(’19.5월)

    * ’17년부터 최고 35%가 적용되는 법인세율을 21% 단일세율로 인하 등

   。감세조치에도 불구하고 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거의 오르지 않은 반면 기업들과 초고소득층이 감세에 따른 대부분의 이익을 차지

문의 :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거시경제과(044-215-2833), 세제실 법인세제과(044-215-4221), 재정혁신국 재정효과분석팀(044-215-576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