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미등록 국가유공자 발굴·복지사각지대 해소 위해 더욱 노력

2019.12.18 국가보훈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국가보훈처는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국가유공자 발굴·등록을 통한 예우와 지원을 드리고, 무연고 등으로 인한 복지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2월 18일 국민일보 <베트남전참전용사·독립유공자 유가족…그가 떠난 쪽방엔 국가유공자 표창장만 쓸쓸>에 대한 설명입니다

[국가보훈처 설명]

미등록 국가유공자 발굴 및 예우, 복지와 관련해 다음과 같이 설명 드립니다.

○ 국가보훈처는 국가유공자에게 대상별로 참전명예수당 및 생활조정수당, 생활지원금을 비롯해 진료비, 장례 및 안장지원 등 다양한 예우와 지원을 드리고 있습니다.
* 참전명예수당 : 6·25전쟁 및 월남전참전유공자
  생활조정수당 : 국가유공자(독립유공자 포함) 및 그 유족 중 생계곤란자
  생활지원금 : 보상금을 받지 못해 생활이 어려운 독립유공자 (손)자녀
  장례지원 : 생계곤란 독립유공자, 국가유공자, 참전유공자 등

○ (국가유공자 발굴) 그러나, 무연고 등 여러 가지 사유로 인해 국가유공자로 등록되지 않을 경우 이와 같은 예우와 지원을 받지 못함에 따라 2014년부터 정부주도로 미등록 참전유공자를 적극 발굴*, 현재까지 6만7천여 명을 국가유공자로 등록했습니다.
* 미등록 참전유공자 발굴 : 국가보훈처는 2014년부터 국방부·병무청 등 유관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와 협업을 통해 현재 67,329명(생존자 7,056명, 사망자 60,273명)의 참전유공자를 발굴했음.

○ (복지서비스) 또한, 무연고 등 위기 상황에 처한 보훈가족들에게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드리기 위해 관계 부처와 복지정보 제공 협업* 및 퇴직 보훈공무원들의 노하우를 활용한 ‘Know-how+ 사업’, 지역사회 및 공공기관과 연계한 복지사업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주거환경 개선, 생활안전, 건강관리, 의료, 교육 등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교육·의료·주거 급여 수급 및 차상위 계층 여부 등 11개 복지정보
  기초급여 수급자, 차상위 계층, 초고령자 등을 우선조사 대상으로 선정(2019년 2,101명 지원)

○ 아울러, 국가보훈처는 언론에 보도된 분들의 경우, 국가유공자 등록 및 국립묘지 안장 등 후속조치를 취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
* 신OO : 국가유공자 미등록(월남전 참전사실 확인) 상태, 국가유공자 발굴(본적 및 주소지 확인 등) 후 등록 및 유족 희망에 따라 국립묘지 안장 추진
  임OO : 독립유공자 자녀(수권자)로 ’19년 7월까지 보상금 지급, 순위변경에 따른 보상금 지급 대상 손자녀(해외거주) 소재 추적 중
  최OO : 월남전참전유공자로 ’19년 2월까지 참전명예수당 지급, 관할 지자체 통한 유족여부 등 확인 후 유족 희망에 따라 국립묘지 안장 추진

○ 국가보훈처는 앞으로 보다 적극적인 국가유공자 발굴·등록을 통한 예우와 지원을 드리고, 무연고 등으로 인한 복지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문의: 국가보훈처 보상정책과 044-202-541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