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기재부 “국세청과 가상통화 거래이익 과세 엇박자 보도, 사실과 달라”

2019.12.31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기재부와 국세청이 가상통화 거래 이익에 대한 과세에 대해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면서 “거주자 및 비거주자의 국내 가상통화 거래 소득에 대한 과세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과세방안을 마련해 2020년 세법개정안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12월 30일 한겨레 <기재부 “암호화폐 과세 불가” vs 국세청 “빗썸, 소득세 803억 내라”>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ㅇ암호화폐 거래로 이익을 얻은 투자자에게 세금을 부과할 수 없다는 기획재정부의 공식 입장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국세청은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에 803억원의 소득세(외국인 고객의 소득세 원천징수 관련)를 부과했다

ㅇ우리나라 경제정책을 총괄하는 기재부와 그 산하기관인 국세청이 암호화폐 과세를 두고 엇박자를 내고 있는   모양새다

[기재부 입장]

□ 기획재정부와 국세청이 가상통화 거래 이익에 대한 과세에 대해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름

ㅇ (기획재정부) 현행 소득세법 상 거주자의 경우 과세대상으로 열거된 소득만 과세하므로(제16∼22조), 가상통화 거래 이익은 열거된 소득이 아니어서 소득세 과세대상이 아니라고 판단

ㅇ (국세청) 빗썸 거래소 거래자 중 비거주자의 가상통화를 국내원천 기타소득*의 ‘국내 자산’으로 보아 부과 처분함

* 비거주자의 국내원천 기타소득: 기타 국내자산의 양도소득 및 국내에 있는 자산과 관련하여 받은 경제적 이익(제119조 제12호 마·카목) 

ㅇ 그동안 가상통화의 법적 성격(자산, 화폐 또는 금융상품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 ‘19.6월 국제회계기준위원회는 이를 재고자산 또는 무형자산으로 회계처리하기로 결론

* 비거주자의 국내 가상통화 거래에 따른 소득이 국내원천 기타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가상화폐의 ‘국내 자산’ 해당 여부 등이 선결 문제임

□ 기획재정부는 거주자 및 비거주자의 국내 가상통화 거래 소득에 대한 과세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과세방안을 마련하여 ‘20년 세법개정안에 반영할 계획

※ (과세인프라) 가상통화 취급 업소에 실명확인 등 의무를 부과하는 내용의 「특정금융거래정보법」 개정안(김병욱 의원, ’19.3.18. 발의)이 국회 정무위  통과, 취급업소의 과세정보 제출을 위한 기술인프라 개발·구축 준비 중

문의 : 기획재정부 세제실 소득세제과(044-215-4212), 국제조세제도과(044-215-4422)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