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신규 ESS 공사계획 총 818.4MWh, 배터리 출하량 1.7GWh 수준

2020.01.02 산업통상자원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산업부가 인가한 신규 ESS 공사계획은 총 818.4MWh이며 , 배터리 제조사의 국내 ESS용 배터리 출하량은 1.7GWh 수준으로 신규 발주가 전혀 없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12월 31일 한국경제 <국책硏 2년 전 “태양광, 고용효과 없다” 보도에도…정부 ‘재생에너지’ 밀어붙였다>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올 들어 국내 ESS 신규 발주건수는 ‘제로’

□ 산업부가 `19.6월 1차 조사 결과 발표 때 전문가 육성 등 제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았다면 최소한 추가 화재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

[산업부 입장]

□ 화재에 따른 ESS 가동중단, 안전강화 등으로 ‘19년 ESS 수주는 감소했으나,

ㅇ ‘19년 산업부가 인가한 신규 ESS 공사 계획은 총 818.4MWh이며,

ㅇ‘19년 배터리 제조사의 ESS용 배터리 국내 출하량은 총 1.7GWh 수준으로 신규 발주가 전혀 없었다는 것은 사실과 다름

□ 또한, 산업부는 ESS 설비의 안전관리에 대한 전문성 제고를 위해,

ㅇ`18년부터 안전관리자 점검 매뉴얼을 배포하고(`18.9월), ESS 全사업장의 안전관리자(총 741명)를 대상으로 전문교육을 실시한 바 있음(`18.8월,11월)

ㅇ아울러, `19.6월 ESS 안전강화 대책에 따라, ESS 유관 협단체·기관이 참여하는 ‘ESS 생태계 육성 통합 협의회‘를 창립하여(`19.8.26),

 -‘ESS 설치·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가이드’를 개발 중이고, ESS 분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관련 교육·세미나를 실시*한 바 있음

* ①(전기기술인협회) 안전성 향상대책 및 기술동향 세미나(`19.11.21~22, 약 90명)
  ② (대한전기협회) ESS 기술기준 세미나(`19.11.28, 약 500명)
  ③ (전기산업진흥회) ESS 신기술 및 정책 컨퍼런스(`19.10.17, 약 100명)

ㅇ향후, 산업부는 ESS의 설계·시공·운영 全 주기 안전관리를 위해 법정 정규 교육을 신설하고(`20.上),

-ESS 시공·유지관리의 전문성과 책임성 강화를 위해 전문업체 육성 방안도 연구용역을 통해 마련해 나갈 계획임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분산에너지과(044-203-5198), 에너지안전과(044-203-527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