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검정역사교과서는 집필진의 자율성을 존중해 다양한 내용으로 서술됐다”며 “교과서 검정 전문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위탁해 검정 공통 기준 위반 여부와 교과 집필기준에 의해 단계별로 엄정하게 검정심사를 진행했다”고 밝혔습니다.
<교육부 설명>
□ 교육부는 교과서 검정 전문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위탁하여 검정 공통 기준 위반 여부와 교과 집필기준에 의하여 단계별로 엄정하게 검정심사를 진행하였습니다.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입장) 동 기사에서 ‘교과서마다 상이하게 서술되었다’는 지적은 사료에 대한 선택이나 학계의 이견이 있는 부분을 집필진이 자율적으로 기술한 것으로 오류가 아닙니다.
ㅇ (산미증식계획 쌀 생산량) 일부 교과서(4종)에서는 ‘조선총독부 농업 통계표’를 인용하였고, 해냄, 씨마스는 조선총독부 농림국 자료인 ‘조선 미곡 요람(1937)’을 활용한 것으로 교과서의 서술 차이는 인용한 자료의 차이입니다.
- ‘조선총독부 농업통계표’는 당해 연도 생산량을 기재하였고, ‘조선미곡요람’은 전년도 생산량을 총계하여 다음 연도에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1년간 밀려 쓴 교과서라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 해냄, 씨마스 출판사에서는 학생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해당 사료를 ‘조선총독부 농업 통계표’로 수정 완료
ㅇ (사발통문) 동 사료의 진위와 관련해서는 진본으로 보는 경우*, 진본을 모사한 것으로 보는 경우, 후대에 여러 자료를 편집하여 만든 경우 등 학계에서 다양한 이견이 존재합니다.
* 미래앤 교과서는 ‘사발통문’ 소장처인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의 자료를 인용한 것임
□ 다만, 검정교과서는 검정 통과 이후에도 오류가 확인될 경우, 수정·보완 절차*에 따라 수정·보완을 할 수 있으며,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질 높은 검정역사교과서를 학교현장에 보급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 교과서 민원바로처리센터에 수집된 민원, 모니터링단 운영에 따른 수정의견, 집필진 요청 등을 저작자(발행자)의 검토를 거쳐 교육부 승인 후 일선 학교에 공문으로 안내
문의: 교육부 동북아교육대책팀(044-203-7044), 한국교육과정평가원(043-931-0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