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비상대응 체계 구축으로 마스크 하루 1000만개 이상 생산 계획

2020.02.02 보건복지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보건복지부는 “마스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제조업체와 비상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하루 1000만 개 이상 생산할 계획”이라며 “마스크 수급 상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 중이며,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조달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마스크 200만개 중국 지원과 관련, “의료용품은 민간에서 자발적인 모금활동을 통해 마련한 것이며, 정부는 이 중 일부를 우한에 전달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사재기, 매점·매석 등 시장 질서 교란 행위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1월 31일 한국경제 <“마스크 없어서 난리인데”… 정부, 마스크 200만개 중국 지원 논란>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국내 마스크 공급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에서 공급 부족을 자초

[복지부 설명]

1. 국내 마스크 부족 상황 관련

○ 정부는 마스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제조업체와 비상대응 체계를 구축하여 하루 1,000만 개 이상 생산할 계획이며,

- 전체 제조사(123개)의 마스크 재고량은 약 3,100만 개로 수급 상황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 중이며,

- 마스크 원부자재는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수급선 다변화 , 국내 생산시설 최대가동 등을 통해 조달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할 예정

2. 정부가 마스크 200만개 중국에 지원 관련

○ 의료용품은 민간*에서 자발적인 모금활동을 통해 마련한 것이며,

* 중국 유학생 모임인 ‘중국유학총교우회’ 및 ‘중국우한대총동문회’

- 정부는 이 중 일부를 교민 귀국 지원 임시항공편을 통해 우한에 전달한 것으로, 민관이 협력하여 중국을 돕고자 한 것임

3. 최근 언론 보도되고 있는 사재기, 매점·매석 등 관련

○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각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120명으로 구성된 범정부 단속반을 편성하여 불공정 거래 행위 등 시장 질서 교란 행위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을 벌이고

- 특히, 온라인 모니터링 결과 폭리 등 시장 교란 의심업체와 도매상 등에 대해 집중 점검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위로 적발된 경우 2년 이하 징역, 5,000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엄중히 처벌할 계획임

0

문의 :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자원관리팀(044-202-3723), 식품의약품안전처 바이오생약국 의약외품정책과(043-719-3702), 외교부 개발협력국 다자협력인도지원과(02-2110-8363)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