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외국인 계절근로제도 운영 중단한 사실 없어

2020.02.11 법무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법무부는 “외국인 계절근로제도의 운영 중단이나 비자 발급을 잠정 중단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법무부와 고용부는 비전문취업(E-9) 외국인과 방문취업(H-2) 동포에 대한 신규 비자 발급도 중단한 사실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2월 10일 아시아경제 <농번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일손 급한데…>에 대한 법무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정부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우려해 계절근로(E-8), 단기취업(C-4) 등 외국인 계절근로 제도를 잠정 중단키로 하면서 농촌현장에 비상

○ 법무부는 농촌 인구 감소, 고령화에 따른 농촌 일손 부족에 대응하여 기존 단기취업(C-4) 비자 이외에 기간을 5개월로 확대한 계절근로(E-8) 제도를 신설했으나, 시행 첫 해부터 운영 좌초

○ 외국인 근로자 비전문취업(E-9) 비자와 외국국적 동포의 방문취업(H-2) 비자 신규 발급도 잠정 중단된 상태

[법무부 설명]

□ 외국인 계절근로제도의 운영 중단이나 비자 발급을 잠정 중단한 사실이 없습니다.

○ 법무부는 ’20.2.6.(목) 고용부·농식품부등 관계부처로 구성된 계절근로 배정심사협의회를 개최하여, 2020년도 계절근로자 배정을 확정하였습니다.

- ’20.1.1.~1.16.까지 총 50개 지자체로부터 5,067명의 신청을 접수받아 전년도 불법체류 등에 따른 제재기준을 적용하여 총 48개 지자체에 4,797명의 계절근로자를 배정하였습니다.

○ 법무부는 ’20.2.10.(월) 계절근로를 신청한 50개 기초지자체와 광역지자체, 고용부·농식품부 등 관계부처에 계절근로 배정결과와 감염증 예방관련 지자체 점검·준수사항을 함께 송부하였습니다.

○ 계절근로 인원을 배정받은 지자체는 농·어가를 최종 확정한 후 출입국·외국인청(사무소·출장소)에 비자를 신청할 수 있으며,

- 지자체 사정에 따라 단기취업(C-4, 90일) 비자와 이번에 신설된 계절근로(E-8, 5개월) 비자를 선택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 따라서, 법무부가 외국인 계절근로자 도입 중단을 결정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 또한, 법무부와 고용부는 비전문취업(E-9) 외국인과 방문취업(H-2) 동포에 대한 신규 비자 발급도 중단한 사실이 없습니다.

○ 고용부가 취업교육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요청으로 방문취업(H-2) 동포에 대한 취업 교육을 2월말까지 일시 중단한 적은 있으나,

○ 법무부와 고용부에서 비전문취업·방문취업 비자의 신규 발급을 중단한 사실이 없습니다.

* (H-2 취업절차) 방문취업비자로 입국 → 취업교육 → 구직등록 → 고용센터 알선 또는 자유구직 → 근로계약 후 취업
* (E-9 취업절차) 고용주 고용센터에 고용 허가 신청 → 고용허가서 발급 → 근로계약 → 비전문취업비자로 입국 → 취업교육(2박3일) →  근무시작

① 계절근로(C-4, E-8) : 농·어번기 외국인 근로자를 90일(C-4) 또는 5개월(E-8)동안 합법적으로 고용할 수 있는 제도
② 비전문취업(E-9) : 외국인 근로자를 3년간(최대 4년 10개월) 합법적으로 고용할 수 있는 제도
③ 방문취업(H-2) : 18세 이상 중국·구소련권 동포에게 3년간 유효한 방문취업 비자를 발급하며, 최장 4년 10개월 범위 내에서 체류 가능한 제도

문의 :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체류관리과(02-2110-4059)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