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경제 비상시국에서 일시적 건전성 악화 불가피

2020.03.10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이번 추경으로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다소 증가할 전망인 것은 사실이나 경제 비상시국에서 피해극복, 경기보강에 전력 투구하기 위해서는 일시적 건전성 악화가 불가피하다”고 밝혔습니다.

3월 10일 뉴스핌 <1월 국세수입 6000억 줄어…관리재정수지 사상 첫 적자로 출발>, 조선비즈 <1월 관리재정수지 적자…GDP 대비 적자비율 외환위기 후 최대 전망>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뉴스핌은 「1월 국세수입 6000억 줄어… 관리재정수지 사상 첫 적자로 출발」 제하 기사에서,

ㅇ “총지출은 늘어나면서 1월 관리재정수지는 월별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다”라고 보도

□ 조선비즈는 ‘20. 3. 10.(화) 「1월 관리재정수지 적자… GDP 대비 적자비율 외환위기 후 최대 전망」 제하 기사에서,

ㅇ “올해 관리재정수지 적자비율은 외환위기 후유증이 남아있던 1998년 이후 최대 수준으로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보도

[기재부 입장]

□ ‘20.1월 관리수지 적자는 코로나19 등 비상경제시국이라는 인식 하에 경기회복을 위한 재정의 조기집행 노력을 경주한 결과로서,

ㅇ 1월 실적*만으로 연간 재정지표 전망치를 단언하기는 무리

* (총지출) 전년동월대비 6.4조원↑, 진도율 9.9%로 월간동향 발표(‘14.2월) 이래 최고수준(총수입) 지방소비세율 인상(15→21%)에 따른 부가가치세 감소(약 △1.5조원) 포함

□ 또한, 이번 추경으로 관리재정수지 적자가 다소 증가할 전망인 것은 사실이나,

ㅇ 현재와 같은 경제 비상시국에서 피해극복ㆍ경기보강에 전력투구하기 위해서는 일시적 건전성 악화가 불가피한 측면

ㅇ 코로나 대응중인 여타 국가들도 대부분 재정정책을 통한 피해극복 지원중

ㅇ
□ 다만 정부는, 지출구조조정, 보조금 정비, 재정혁신 등을 통해 재정건전성 확보에도 각별한 노력을 경주함과 동시에,

ㅇ ‘20~’24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수립시 중장기 재정건전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마련할 계획

문의 : 기획재정부 재정혁신국 재정건전성과(044-215-5746)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