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국제신평사 신용연례협의, 컨퍼런스콜 대체 및 방문일정 조정 협의 중

2020.04.16 기획재정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기획재정부는 “코로나19 전세계 확산에 따른 이동제한으로 국제 신평사의 각 국가별 방문 협의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라며 “무디스 및 S&P와 통상 상반기에 진행하던 연례협의를 올해의 경우 신평사 측 요청을 감안해 무디스는 컨퍼런스콜로 대체하고, S&P는 코로나19 진정 이후로 방문 일정을 조정하기로 협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4월 15일 한국경제 가판 <코로나에…국가신용등급 평가 연기>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한국경제는 2020. 4. 15.(수) 「코로나에…국가 신용등급 평가 연기」 제하 기사에서,

ㅇ 코로나 19의 확산 여파로 글로벌 신평사인 무디스와 S&P의 국가신용등급 평가단의 한국 방문이 무기한 연기되면서,

ㅇ 최악의 경우, ‘비대면 평가’를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한국 국가신용등급 평가 과정에 불리하게 작용할지 모른다고 우려

[기재부 입장]

□ 코로나19의 전세계 확산에 따른 이동 제한으로 국제 신평사의 각 국가별 방문 협의가 사실상 어려운 상황

ㅇ 이에 따라 정부는 코로나19 발생 이후부터 국제 신평사와 금년도 연례협의 일정을 지속적으로 협의해 왔으며*,

 * 기사 내용 중 “이달로 예정된 있었던 무디스와 S&P의 연례협의단 방한이 연기됐다”는 사실과 다름

 - 무디스 및 S&P와 통상 상반기에 진행하던 연례협의를 올해의 경우 신평사 측 요청을 감안하여, 무디스는 컨퍼런스콜로 대체하고, S&P는 코로나19 진정 이후로 방문 일정을 조정하기로 협의 중

□ 한편, 정부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한국의 방역 조치 및 다각적인 경기대응 노력에 대해 전화, 이메일 등 비대면 수단을 활용하여 신평사 측에 수시로 자료를 제공하는 등 쌍방향 소통을 강화해 오고 있음

ㅇ 이러한 소통을 토대로 무디스는 지난 4.6일(월) 한국 국가신용등급 관련 신용의견(credit opinion)을 발표하여, 현재 한국 국가신용등급·전망(Aa2, 안정적)을 재확인한 바 있음

□ 정부는 앞으로도 한국 경제 현황과 주요 현안 관련 신평사와의 소통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면서 대외신인도 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임

문의 : 기획재정부 국제금융과(044-215-4714)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