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환경부는 “그린뉴딜은 환경·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기 부양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기후변화·환경 위기 대비 측면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1일 발표한 방안을 포함, 추가 보완을 통해 7월 초 종합 대책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6월 1일 경향신문(인터넷판) <기후변화 대응법 ‘미흡’…그린 뉴딜인데, 그린이 안 보인다>에 대한 기획재정부·환경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 방안은 핵심 목표인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책이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그린’을 표방한 단순 경제정책
[관계 부처 입장]
□ 금일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 방안은 미래 기후변화·환경 위기 대응을 위해 ①각 분야별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원과 ②녹색산업 육성 및 ③신재생에너지 확산 과제 등 반영
① 주요 온실가스 배출원*(산업·건물·수송 등) 분야별 감축 사업** 반영
*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 비중(’17년): 산업 55%, 건물 22%, 수송 14% 등
** (산업)클린팩토리, 스마트 생태공장 등 저탄소·녹색산단 조성,(건물)공공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수송)친환경 차량·선박 보급
② 5대* 유망 분야 녹색산업 육성 및 녹색인재 양성(5천 명) 사업 반영
* 1)청정 대기, 2)생물 소재, 3)수열 에너지, 4)미래 폐자원, 5)자원 순환(Post-플라스틱)
③ 국민 참여* 등을 바탕으로 태양광·풍력·수소 등 3대 신재생에너지 확산 기반을 구축하는 R&D·실증 사업 등 반영
* 지역 주민 등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참여(투자) 시, 투자금 융자 지원
□ 또한 화력발전·폐광 지역 등 낙후된 舊에너지 산업 지역을 신재생에너지 지구로 유연하게 전환하는 발전 모델 연구 등,
ㅇ 기후변화 및 에너지 구조 전환에 따른 공정 전환* 지원 예산도 이번 그린뉴딜 방안에 함께 반영
* [공정 전환(Justice Transition)]
: 에너지 구조 전환(화석 연료→신재생에너지 등) 과정에서 수혜를 받지 못하고 소외되는 취약 계층 등에 대한 고려·배려를 요구하는 개념
□ 그린뉴딜은 ①환경·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기 부양뿐만 아니라 ②지속 가능한 미래 사회를 위한 기후변화·환경 위기 대비 측면에도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ㅇ 금일 발표한 방안을 포함, 추가 보완을 통해 7월 초 종합 대책도 마련할 계획
문의 : 기획재정부 기후환경정책팀(044-215-4971), 환경부 기후전략과(044-201-6647)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