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국내 백신 개발뿐 아니라 해외에서 개발한 백신 확보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면서 “이와 별개로 개별 기업과 백신 추가 확보를 위한 협의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8월 5일 조선일보 <백신, 美·유럽·日 25억회분 확보… 한국은 ‘0’>에 대한 보건복지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미국 등 주요국과는 달리 한국은 백신 확보를 위한 이렇다 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 않음. “우리도 제약사와 협상해야” 지적
[복지부 설명]
○ 정부는 지난 6.3일 발표한 “코로나19 치료제·백신 등 개발지원대책”에 따라 국내 백신 개발뿐 아니라 해외에서 개발한 백신 확보 노력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 이미 정부는 글로벌 백신 공급 매커니즘(COVAX Facility)*에 참여의향서를 제출(6.30)하고, 백신 물량 확보를 위한 국제적 배분 논의에 참여하여 백신 확보를 위한 협의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 Gavi 주도의 백신에 대한 공정한 접근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적인 공급메커니즘으로 가입국에 대해 최소한 해당 국가 인구의 20%에 해당하는 백신 공급을 목표
○ 이와 별개로 개별 기업과 백신 추가 확보를 위한 협의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 정부는 옥스퍼드-아스트라제네카에서 개발 중인 백신의 국내 공급을 위해 아스트라제네카社-SK바이오사이언스社와 3자간 코로나19 백신 생산 협력의향서(LOI)를 체결(7.21)하였으며,
- 이외에도 현재 백신 개발 선두에 있는 글로벌 제약사들과도 국내 백신 물량 확보를 위한 협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문의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기술개발과(044-202-2931), 코로나19 치료제·백신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사무국(044-202-2797)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