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퇴직교원 중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받은 교원은 정부포상 대상으로 추천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1월 21일 한겨레 <민주화운동 했다고 정부포상에서 제외? 퇴임 앞둔 교수가 문제 제기한 이유>에 대한 행정안전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서울대 유용태 교수는 교육부로부터 과거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설립운동 관련 형사처벌에 대해 재직기간 중 형사처벌을 받은 전력이 있어 정부포상 업무지침에 따라 퇴직포상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통보를 받음
- 2020년 국가인권위원회가 민주화운동 관련 전과가 있는 사람을 포상추천에서 배제하지 말라고 권고했으나 행정안전부가 일반국민은 추천이 가능하다고 지침을 개정하면서 퇴직 교원에게는 적용하지 않았기 때문임
[행안부 입장]
○ 행정안전부와 교육부는 2015년부터「민주화운동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제5조의6(불이익행위금지) 규정을 근거로 전교조 활동 등으로 형사처벌 등을 받았더라도 동법에 따라 민주화운동 관련자 증서를 발급받은 자의 경우 예외적으로 퇴직포상 대상자로 추천을 받아 왔습니다.
※ 민주화보상법에 따른 퇴직교원 포상 인원 : ’15년(4명), ’16년(2명), ’17년(14명), ’18년(13명), ’19년(9명), ’20년(10명), ’21년(12명)
- 위와 관련, 교육부에서는 이미 전교조 활동 등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받은 교원에 대한 포상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해 오고 있습니다.
○ 그러나 2022년 2월 퇴직교원 포상과 관련, 행정안전부는 교육부가 민주화운동 관련자 증서를 발급받은 초·중등 퇴직교원 11명을 추천하면서 대학 교원(서울대 유용태 교수) 추천을 누락하였음을 확인하였습니다.
- 위와 같은 상황이 재발하지 않도록 행정안전부는 교육부에 관련 사항에 대해 다시 한번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 아울러 보도내용에 언급된 2020년 5월 국가인권위원회 권고는 퇴직교원 포상이 아닌 ‘일반국민 포상‘ 추천시 민주화운동 관련자를 제외하지 않도록 「정부포상 업무지침」개정을 권고하는 내용으로,
- 2020년 9월 행정안전부는 인권위에 관련 내용을 검토하고 있음을 회신하고 2021년 2월「2021년 정부포상 업무지침(2021. 1. 1.시행)」 개정을 통해 위 권고내용을 반영하였음을 통보한 바 있습니다.
문의 : 행정안전부 상훈담당관(02-2100-4092)
다만,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 제37조(출처의 명시)
-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 및 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 제138조(벌칙)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