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AI와 산업의 미래

국가 초지능 연구소가 필요한 이유

2025.08.14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우리가 선택을 강요받는다고 해도 전략적 필수불가결성을 갖춘다면 우리의 선택이 좀 더 유연하고 전략적이 될 수 있다. 지금은 AI 반도체 관련 기술을 이야기하지만, 다음 단계의 AI 모델 개발에서 우리가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면 우리에게는 또 하나의 카드를 가질 수 있다.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

현재 우리는 세계 수준의 AI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와 함께 AI를 위한 국가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하는 노력을 시작했다. 이는 여러 나라들이 추구하는 소버린 AI를 위한 정책 실현을 위한 움직임이다. 

그러나 이 두 가지를 완성하면 우리가 AI G3 수준을 이룩하는 것일까? 일단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1백만 장 이상의 GPU를 갖춘 기가팩토리 또는 슈퍼클러스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AI 모델의 발전은 몇 개월 안에 선두가 바뀔 정도로 치열한 경쟁을 보인다. 

현재 방식인 대형 언어 모델을 기초로 대규모 사전 학습을 하고 이후 고품질 데이터를 통한 강화학습 등을 통해 AI 모델의 지능을 끊임없이 상향시키는 경쟁으로 인간을 넘어서는 초지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시도가 과연 실현될 것인가?

AI 분야의 앞선 선구자들과 일부 연구자들은 지금의 접근이 가진 한계를 지적하고 다른 접근, 모델, 알고리듬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는 딥마인드의 노벨상 수상자인 제프린 힌턴 교수와 데미스 허사비스, 튜링 상을 받은 뉴욕대학의 얀 르쿤 교수와 몬트리올 대학의 요수아 벤지오 교수, 유명 연구개발자인 프랑수와 숄레 같은 리더들도 인정하고 있다. 

2024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명예교수가 8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노벨상 수상자 강연을 하고 있다. 2024.12.8.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4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명예교수가 8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노벨상 수상자 강연을 하고 있다. 2024.12.8.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알파고를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데이비드 실버는 얼마 전 인터뷰를 통해 이제 인간 데이터로 AI를 학습시키는 시대는 끝났고, AI가 직접 세상을 경험하면서 학습하는 시대로 넘어서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가장 핵심 기반 기술인 트랜스포머 아키텍처가 등장한 것은 2017년이고 아직도 그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지만, 여러 연구자가 이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이들의 결과가 아직 대규모로 활용할 수준이라는 증명을 하고 있지 못하지만, 또 다른 혁명적인 연구가 나올 수 있다. 늘 그래 왔기 때문이다.

우리가 현재 기술에서 세계 수준으로 올라가는 것이 지금은 제일 중요한 목표이지만 동시에 다음 세대 기술 연구를 국가적 차원에서 전략적으로 지원해야 할 시점이다.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는 2027년 정도에, 허사비스는 빠르면 2030년에는 인간을 넘는 수준의 AGI 또는 ASI라는 초지능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영국 키어 스타머 총리는 얼마 전 인터뷰에서 AGI가 가져올 어마어마한 변화를 언급하면서 영국이 이를 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은 AI 실행계획을 통해 AI 분야에서 승리하겠다는 것을 선언하고 이를 위해 국가의 모든 법과 제도를 지원하고 미국 중심의 AI 기술을 전 세계 동맹국에서 수출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바로 며칠 후 중국은 모든 국가가 활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위해 국제 협력을 촉구하면서 '함께 배를 타고 가자'고 했다. 그러나 두 강대국 모두 자신의 기술을 중심으로 AI 세계 패권을 가져가겠다는 의도이다.

우리가 선택을 강요받는다고 해도 전략적 필수불가결성을 갖춘다면 우리의 선택이 좀 더 유연하고 전략적이 될 수 있다. 지금은 AI 반도체 관련 기술을 이야기하지만, 다음 단계의 AI 모델 개발에서 우리가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면 우리에게는 또 하나의 카드를 가질 수 있다.

초지능은 지금 누가 언제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 모른다. 다들 가까운 미래를 예상하고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는 중이다. 메타가 초지능 연구소(MSL)을 설립하고 엄청난 돈으로 초특급 연구 개발자를 스카우트하고 있고, 오픈AI의 최고 과학자였던 일리야 수츠케버가 회사를 나와서 '안전 초지능 회사(SSI)'를 설립하고 받은 자금이 20억 달러이다. 

우리가 향후 5년 간 100조 원의 자금을 AI 국가 전략 실행을 위해 투입한다고 하면 1%는 진짜 미래 AI 연구를 위해 사용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국가 AI 인재는 실제 개발과 현재 기술 숙련 과정에서도 만들어지겠지만 이런 연구 과정에서 매우 창의적인 인재들이 나타나고 육성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키스 스트리어(Keith Strier) AMD 수석 부사장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AI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화상을 통해 '소버린 AI의 다음 물결'(The Next Wave of Sovereign AI)을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AI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글로벌·국내 AI 기업의 전략적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3.25.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키스 스트리어(Keith Strier) AMD 수석 부사장이 25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AI 글로벌 콘퍼런스'에서 화상을 통해 '소버린 AI의 다음 물결'(The Next Wave of Sovereign AI)을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이날 행사는 AI 컴퓨팅 인프라와 AI 모델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글로벌·국내 AI 기업의 전략적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3.25.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우리의 초지능 연구소에는 어떤 사람들이 필요할까? 다리오 아모데이는 앤스로픽에는 엔지니어만 아니라 철학자, 수학자, 언어학자도 뽑고 있다고 한다. 지능의 문제는 AI 전공자들로만 해결하지 못할 수가 있다. AI 연구자를 중심으로 언어학자, 뇌과학자, 물리학자, 수학자 등이 모여서 함께 연구하는 통합의 연구가 필요할 수 있다.

아직은 초기 수준이더라도 미래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여러 나라 연구팀을 초빙해서 우리 국가 초지능 연구소에서 마음껏 연구하게 만들고 그 결과는 인류 모두의 공공재로 제공하는 꿈을 꾸어 본다. 

한국인을 포함해 대학과 연구소에 있는 세계적인 AI 연구자를 초빙해 이들이 맘껏 연구할 수 있는 AI 파운드리(데이터 센터)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으로 디지털 지능에 접근하도록 지원하는 국가 초지능 연구소를 대한민국이 만들어 보자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상기

◆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1회 졸업생으로 1980년대 카이스트에서 인공지능 주제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삼성종합기술원, 삼성전자 등에서 활동했으며 1999년 벤처포트 설립, 2003년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 전략대표와 일본 법인장을 역임했다. 카이스트와 세종대 교수를 거쳐 2011년부터 테크프론티어 대표를 맡고 있다. 데이터 경제 포럼 의원, AI챌린지 기획, AI데이터 세트 구축 총괄 기획위원 등을 역임했다. 대표 저서로는 <AGI의 시대>, <AI 전쟁 2.0> 등이 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