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오스트리아 출신 영국의 미술 사학자인 곰브리치(Sir Ernst Gombrich)경은 “미술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미술가가 존재할 뿐이다”고 말했다.
다소 도발적이면서도 철학적인 곰브리치의 말을 인용해보면 “음악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음악가가 존재할 뿐이다”로 바꿔 말할 수도 있겠다. 결국 “예술이란 그 시대의 규범과 맞서며 발전해오고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해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가 무언가에 의미를 부여하는 순간 그것은 미술이 될 수 있고, 음악이 될 수도 있는 것처럼 새로운 사고 확장으로의 탐험은 항상 기존 틀의 저항과 관념으로부터의 탈피로 시작된다고 할 수 있겠다.
아놀드 쇤베르크(Arnold Schonberg)와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는 기존의 전통적인 선입관의 편견을 깨고 자신들의 확고한 예술세계를 확립했다.
그것은 저항을 이겨내야 하는 단단함과 예술적 상상력을 체계화시켜야 하는 지난한 과정이 포함돼 있다.
동료로서 서로의 예술세계를 통해 발전하고 영감을 받은 쇤베르크와 칸딘스키는 청각의 시각화·시각의 청각화를 통해 새로운 사고의 확장을 보여주었는데, 그들이 추구한 예술세계에서 음악과 회화는 과연 어떤 의미였을까?
◆ 20세기 초

아이작 뉴튼의 물리학 법칙들은 18세기 이후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냈다. 그의 업적인 ‘만유인력의 법칙’이나 제2법칙인 ‘가속도의 법칙(F=ma)’은 현재도 물리학의 중요한 공식이다.
그가 주장한 시공간의 절대적 개념은 물리학을 떠나 서양의 기계적 세계관으로 발전해 근대 사상과 철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20세기 초 서양의 세계관은 아인슈타인에 의해 커다란 변화를 맞이한다.
특히 아인슈타인의 대표적인 이론인 상대성이론은 뉴턴이 주창한 고전역학의 절대적인 시공간 개념을 깨뜨리는 데에서 출발한다. 기존에 굳건하다고 믿었던 생각과 관념들이 뒤집히는 순간이 온 것이다.
오스트리아 출신 작곡가 아놀드 쇤베르크 역시 그 동안 클래식음악이 전통적으로 고수해오던 화성과 음악적 법칙 등을 깨뜨리기 시작한 첫 번째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동시대 신고전주의를 표방한 스트라빈스키와는 달리 쇤베르크의 음악은 지금도 편하게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마치 100여년전 상대성이론이 나왔지만 여전히 이론에 관해 자세히 아는 사람이 드문 것과 비슷하다.
그의 작곡기법은 한 옥타브 안의 12개의 음(흰 건반7개, 검은 건반 5개)에 동등한 자격을 주어 일정한 순서로 배열해가면서 악곡을 구성해 나아가는 방식이다. 지금의 작곡가들에게는 상식적인 기법이 되었지만 당시로는 굉장히 파격적이라고 볼 수 있었다.
쇤베르크의 실험적인 음악은 당시 평론가와 대중으로부터 외면을 받았는데, 그 중 한 아마추어 음악가에게는 흥미를 끌었다. 1911년 독일 뮌헨에서 열린 쇤베르크의 연주회에서 그의 음악을 듣고 자신의 예술적 방향을 찾은 이가 있었는데, 그가 바로 화가 ‘칸딘스키’였다.
◆ 소리와 색채
칸딘스키는 첼로와 피아노를 수준급으로 다룰 줄 알았던 아마추어 음악가였다. 쇤베르크의 음악회에서 들은 낯선 화음들은 칸딘스키의 회화구상에 영감을 주었는데 그것은 바로 불협화음이었다.
불협화음은 고전음악에 익숙하던 이에게 불편함을 주었던 것이 분명 하지만 이는 사실 익숙함과 익숙하지 않음의 차이에서 온 것이라고 쇤베르크는 생각했다.
전통적인 화성학에서 불협화음은 곡의 긴장이나 마무리를 해결하기 위한 요소로 사용하지만 쇤베르크는 모든 음에 동등한 가치를 부여해 음악을 구성했다.
칸딘스키는 자신의 추상에 쇤베르크의 이런 구성적인 요소를 대입했는데, 바로 소리에서 받은 영감을 기하학적인 모형과 색채로 변형한 것이다.
사실 음악을 회화로 표현하려는 시도는 19세기 후반 클링거(Max Klinger) 등 몇몇 예술가들을 의해 시도되었지만 고전주의의 틀을 깨진 못했다.
하지만 칸딘스키는 자신만의 공감각적 능력을 활용해 음악 속에서 느껴지는 색채감을 통해 음악도 회화가 될 수 있고 회화도 음악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그의 회화에는 몇 가지 자신만의 법칙이 있었는데 예를 들자면 동그라미는 파랑, 세모는 노랑, 네모는 빨강 등 도형을 색채화시킨 다음 색의 채도에 따라 밝은 파랑은 플루트, 어두운 파랑은 첼로, 노랑은 트럼펫이나 고음의 금관악기로 묘사한다.
또 같은 악기여도 녹색은 안정적이고 온화한 바이올린이고, 밝은 빨강은 가볍고 경쾌하며 맑은소리의 바이올린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검정색은 완전히 끝난 휴식, 회색은 숨표 또는 무음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렇듯 칸딘스키는 자신만의 언어를 사용해 작품을 발전시켜 나갔는데 이는 청각과 시각을 자신만의 회화적 문법으로 표현한 첫 번째 화가로 볼 수 있다.
그의 점, 선, 면, 색채에서는 다양한 악기와 음악이 연주되고 있는데 그의 대표작인 구성(Composition) 시리즈는 칸딘스키의 눈으로 보는 음악을 잘 표현해 준다고 볼 수 있다.
◆ 생각의 탄생 : 유추와 연상
창조적 사고에 대해 설명할 때 유추와 연상은 핵심 사고과정이며 가장 중요한 지적 기술 중 하나라고 많은 과학자들이 주장한다.
뉴튼과 다윈의 이론에도, 양자론에도 유추와 연상은 핵심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사고과정인데 이런 유추를 통한 연상작용은 예술가에게도 창조를 위한 필연적인 지적 과정이다.
피카소의 입체파 회화는 이집트의 벽화에서 유추되었고, 쇤베르크의 12음기법은 피보나치 수열에서 유추되었으며 칸딘스키도 음악적 유추를 통해 색채와 기하학적 모형을 연상했다.
쇤베르크의 대표적인 현악 6중주곡인 <정화된 밤(Verklarte Nacht)>이나 <달에 홀린 삐에로(Pierrot Lunaire)>는 그의 문학적 상상력이 음악을 통해 나타나고 있는데, 두 작품 모두 연작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작품은 시에서 나타나는 음률과 감정선을 자신만의 음악적 기법을 통해 유추 연상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특히 후기낭만파적 성향도 드러나있는 <정화된 밤>과는 달리 <달에 홀린 삐에로>는 소프라노가 내레이터가 되어 낭송조의 창법으로 다른 7개의 악기들과 융화되어 획기적이며 기이하고 모호한 성격의 곡을 창조했다.
그의 작품을 두고 비평가였던 알프레드 커 (Alfred Kerr)는 “음악의 끝이 아니라 듣는 방식의 새로운 단계가 시작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칸딘스키 회화의 영감은 ‘즉흥(improvisation)’, ‘인상(impression)’, ‘구성(composition)’으로부터 나왔는데 그 중 <인상 시리즈3>은 쇤베르크의 음악회에 다녀온 후 완성됐다.
작품은 청각으로 받은 인상을 시각화했는데 검은색 굵은 곡선은 그랜드 피아노를 연상시킨다. 또한 얇은 검은색들은 청중들을, 여러 색채들은 그가 음악에서 받은 음색의 느낌을 화폭으로 옮긴 것이다.
유추와 연상을 통한 두 예술가의 작품은 그것(유추와 연상)이 상상력을 필요로 하는 생각의 도구로서 창조적 사고를 위한 필수조건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
◆ 원 속의 원(Circles in a circle)

1923년작 <원 속의 원(Circles in a circle)>은 칸딘스키의 대표작으로 큰 원 속에 작은 여러개의 원들이 조화로우면서 각각의 색채를 지니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은 마치 쇤베르크의 불협화음을 포함한 음들이 저마다의 의미를 가지는 것처럼 음악의 궁극적 목적은 조화이고 조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고 말하는 듯 하다.
칸딘스키는 쇤베르크가 집필한 화음이론을 러시아어로 번역해 소개할 정도로 그의 음악을 존중했고, 쇤베르크도 칸딘스키와 예술적 아이디어를 공유할 정도로 막역한 사이였다.
비록 둘 사이의 관계는 반유대주의 발언을 했던 칸딘스키가 기독교에서 유대교로 개종하며 시오니즘에 경도돼있던 쇤베르크의 해명요구에 제대로 답하지 못하면서 소원해졌지만 말이다.
쇤베르크는 자신의 음악이 대중적으로 이해 받지 못하고 힘들 때 화가로 전업을 생각했으며 칸딘스키 역시 어린 시절 음악가가 꿈이었다. 화가가 되고자 한 음악가와 음악가가 되고자 한 화가, 두 아방가르드(avant-garde) 예술가가 이루고자 한 목적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사고인 통섭이 아닐까? 미국의 생리학자 로버트 루트번스타인(Robert Root Bernstein)은 “다양한 것에 대한 관심은 예술가나 모든 혁신가들에게 유추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두 예술가는 통섭적 사고를 통해 예술, 아니 더 나가 우리의 궁극적 목적은 ‘조화(harmony)’라고 말하고 있는 듯 하다.
☞ 추천음반
쇤베르크의 음악을 처음 접한 건 거장 피에르 불레즈(Pierre Boulez)와 함께 연주한 <펠리아스와 멜리장드(Pelleas und Melisande)>에서였다.
당시에는 처음 접해보는 난해한 음악이었지만 멋들어진 선율과 황홀한 분위기는 그의 후기음악보다 휠씬 편하게 감상하실 수 있을 듯 한데, 불레즈의 이지적인 연주를 추천한다. 아바도(Abbado)의 열정적인 연주 또한 좋다.
<정화된 밤(Verklarte Nacht)>은 야니네 얀센(Janine Jansen)이 동료들과 함께 데카(DECCA)에서 발매한 음반으로, 오케스트라버전은 빈 필하모닉의 연주로 추천 드린다.
끝으로 <달에 홀린 삐에로(Pierrot lunaire)>는 사이먼 래틀(Sir Simon Rattle)의 1977년도 음반녹음을 추천하겠다.

◆ 김상균 바이올리니스트
서울대 음대 재학 중 오스트리아로 건너가 비엔나 국립음대와 클리블랜드 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최우수 졸업. 이 후 Memphis 심포니, Chicago civic오케스트라, Ohio필하모닉 악장 등을 역임하고 London 심포니, Royal Flemisch 심포니 오디션선발 및 국내외 악장, 솔리스트, 챔버연주자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eigenartig@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지금 이 뉴스
-
정책뉴스
12세 이상 화이자 단가백신 유효기간 연장…7월 31까지 접종 만 12세 이상 기초접종에 사용되는 화이자 단가백신의 유효기간이 당초 1월 31일에서 오는 7월 31일까지로 연장된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을 통한 1차접종 예약도 오는 6월 5일까지 가능해진다고 2일 밝혔다. 서울 시내 한 병원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추진단은 보유 중인 화이자 단가백신의 유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이를 활용한 기초접종도 오는 7월 31일까지 지속 유지된다고 밝혔다. 다만 접종간격이 8주인 점을 감안해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을 통한 1차접종 예약은 오는 6월 5일까지 가능하다. 이에 추진단은 화이자 백신의 유효기간 연장내역을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r.kdca.go.kr)에 반영해 접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접종수요와 수급계획을 고려해 추가적인 단가백신 도입계획은 없고, 향후에는 2가백신을 활용한 기초접종도 검토할 예정이다. 한편 기초접종은 화이자, 노바백스, 스카이코비원, 얀센 등 모두 4종의 백신이 사용된다. 백신별로 접종대상과 간격, 횟수는 다르며 의료기관별로 보유한 백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접종 전에 확인해야 한다. 아울러 동절기 추가접종은 기초접종을 완료한 경우에 접종할 수 있으며 현재 유행하는 변이에 효과성이 뛰어난 mRNA 2가백신을 우선적으로 권고한다. 다만 mRNA 백신 성분에 중증 알레르기 발생 이력이 있는 경우 등 예외적인 경우에는 스카이코비원백신, 노바백스백신 등 유전자재조합백신으로 접종할 수 있다. 문의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043-719-9342)
-
카드뉴스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언제 어디서든 받을 수 있도록 아이가 한밤중 고열로 응급실에 왔는데 대기만 몇 시간째에요!앞으로는 어떻게 달라질까요? [필수의료 지원대책 브리핑] 국민 누구나!제때에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달빛어린이병원 등 야간휴일 소아 외래진료 확대 응급실에 소아진료가 가능한 의사가 상시 배치될 수 있도록 평가 지표 개선 및 관리 ☞ 자세히보기
-
건강
생활 속 주요 질병 살펴보기 ⑫ ‘폐렴’ 폐렴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폐에 발생하는 염증입니다. 증상만으로는 감기와 비슷하여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폐렴 여부를 정확히 진단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노인의 경우 폐렴은 주요 사망요인으로 밝혀져 있고 20~30%는 증상이 없다가 늦게 폐렴을 진단받기도 하므로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폐렴 발생 원인 폐렴의 원인으로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이 있습니다. 드물게는 화학 물질이나 구토물 같은 물질을 흡입함으로써 폐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요즘은 효과적인 항생제 덕분에 폐렴의 많은 경우가 완치가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폐렴원인균의 항생제 내성도 점차 더 강해지고 있어 폐렴은 옛날보다 더 치료하기 어려워졌습니다. 폐렴 주요 증상 폐렴이 생기면 기침, 가래, 호흡 곤란과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특히 가래 색깔이 노랗거나 탁하게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열, 오한이 동반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하지만 경미한 폐렴의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피로감, 두통, 설사와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폐렴 치료법 폐렴의 치료에서는 주사 혹은 경구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외래에서 치료합니다. 호흡 곤란 등 심한 증상이 나타나면 입원 치료를 진행합니다. 폐렴이 진행되면 패혈증이나 쇼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소적인 합병증으로 흉수, 농흉, 폐농양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모든 폐렴환자에게 합병증이 동반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고위험군 환자는 합병증이 생길 확률이 높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블로그
-
포토
‘한국수어의 날’에 열린 수어문화예술제 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한국수어사진공모전 수장작이 전시돼 있다. ,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한 참석자가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한 참석자가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한 참석자가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한 참석자가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한 참석자가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3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제3회 한국수어의 날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수어문화예술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
국민이 말하는 정책
마스크를 벗기까지, 숫자로 돌아보니 드디어 실내에서 마스크를 벗다니, 이게 꿈인가, 생시인가! 정부가 1월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을 의무에서 권고로 바꾸니너무 좋다. 2020년 11월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된 지 2년 3개월 만이다. 물론 아직 코로나19는 끝나지 않았다. 마스크를 벗기까지 지난 시간을돌이켜 보니,지금 가장 기억나는 것은 마스크를 사기 위해 긴 줄을 섰던 일이다. 그것도 단 2장을 사기 위해서 말이다. 정부의 노력으로 지금은 마스크 걱정이 없다.나도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집에 마스크를 쌓아 놓았는데, 남은 마스크가 500장이 넘는다. 봄철에는 미세먼지로 마스크가 필요할 테니 요긴하게 쓸 것이다. 마스크 5부제 때 약국 앞에서 긴 줄을 서야 했는데, 이젠 그런 걱정이 없다. 외출할 때 꼭 챙기던 게 스마트폰만은 아니었다. 마스크는 스마트폰보다 더 중요했다. 나는 지금도 외출할 때 가방에 예비 마스크를 꼭 넣고 다닌다. 코로나19가 한창 유행할 당시 미처 마스크를 준비하지 못한 사람이 있다면나눠주기도 했다. 마스크를 쓰면 숨쉬기가 답답하고 힘들다. 하지만 마스크 없이 살아가는 것은 상상할 수 없었다. 정부가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을 해제했어도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은 예외다. 의료기관과 약국, 감염취약시설에서도 마스크 착용 의무는 당분간 유지다. 선별진료소에는 PCR 검사를 받기 위해 많은 사람이 몰렸었다. 지난 3년간 우리는 코로나19와 치열하게 싸웠다. 이제 코로나19 터널을 조금은 벗어난 느낌이다. 그 과정을 숫자로 되돌아보았다. 내 수첩에 적힌 코로나19기록이다. 코로나19 초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선별진료소는 컨테이너 박스였다. 20200120(2020년 1월 20일, 코로나19 첫 확진자 발생) 국내에서 코로나19 첫 확진자가 발생했다. 정부는 감염병 위기 경보 수준은 주의 단계로 상향했다. 나는 신종플루나 메르스, 사스(SARS)처럼 금방 끝날 줄 알았다. 당시 코로나19가 이렇게 오래갈 줄 누가 알았을까? 2020년 3월 10일 WHO(세계보건기구)는 펜데믹(세계적 대유행, Pandemic)을 선언했다. 아직 그 선언은 유효하다. 백신 도입은 조금 늦었지만, 접종률은 빠르게 늘어갔다. 1,360,000(2021년 4월 6일,하루 접종자 사상 최대) 2021년 4월 6일 국내 백신 접종이 시작됐다. 그리고 9월 6일, 하루 백신 접종자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백신 도입이 좀 늦었지만, 정부 노력으로 물량을 확보해 빠르게 접종률을 높여갔다. 접종이 곧 최대 예방이니까. 하지만 코로나19 감염자는 쉽게 줄어들지 않았다. 621,144(2022년 3월 17일, 하루 확진자 사상 최대) 이 숫자는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다. 그것도 하루 발생 수치다. 백신 접종에 박차를 가했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왕성했다. 하루에 62만 명이 코로나에 감염되다니! 이때 절망적인 느낌까지 받았다. 나는 코로나에 감염되지 않았다. 그런데 나도 예외가 아니겠구나 하는 생각에 무섭기까지 했다. 이때가 감염 정점이었다. 버스를 탈 때 마스크를 쓰지 않으면 탑승이 거부됐다. 지금도 써야 한다. 20210421(2021년 4월 12일, 마스크 의무 착용) 확진자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대중교통과 병원 등에서 마스크를 의무적으로 착용토록 했다. 이때부터 마스크를 쓰지 않고 생활하면 이상하게 느낄 정도의 삶이 시작됐다. 20220418(2022년 4월 18일, 거리두기 전면 해제) 백신 접종자 증가로 코로나가 서서히 잡히기 시작했다. 확진자 수 감소에 따라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전면 해제했다. 부분적으로나마 소중한 일상을 회복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9월 23일 오후 영남대학교 경산캠퍼스에서 마스크를 벗어 손에 든 학생이 캠퍼스를 걷고 있다. 방역당국은 오는 9월 26일부터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를 전면 해제한다.(사진=저작권자(c)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220926(2022년 9월 26일, 실외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 실외 마스크 의무 착용이 해제됐다. 밖에서나마 답답한 마스크에서 해방된 것이다. 30,000,000(2023년 1월 23일, 코로나 확진자 3000만 명 돌파) 코로나19 발생 3년여 만에 확진자 수가 3000만 명을 돌파했다. 국민 5명 중 3명이 감염된 것이다. 나와 아내는 백신을 5차까지 접종해서 그런지 다행히 감염되지 않았다.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로 식당에 마스크 없이 들어갈 수 있다. 20230130(2023년 1월 30일,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이 해제됐다. 의무에서 권고로 바뀐 것이다. 이제 실내도 대중교통, 병원 등 취약시설을 제외하고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숫자로 코로나19를 돌아보니 감회가 새롭다. 지금도 우리는 코로나19와 싸우고 있다. 그래서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이 해제됐어도 개인방역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방심하는 순간 또 감염자가 폭증할 수 있으니까. 정부가 대중교통,의료기관,감염취약시설 등에서 마스크를 계속 착용해야 한다고 한 것은 아주 잘한 일이다.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로 골목 경제가 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 44,449,767(2023년 2월 1일 현재, 코로나19 기초접종자 4400여만 명) 코로나19 기초접종자 수가 4000만 명을 넘어섰고, 접종률은 88.7%다. 여기서 기초접종자 수는 2차 백신까지 접종한 사람이다. 동절기 추가접종 대상자는 12세 이상, 기초접종 대상자는 5세 이상이다. 단 60세 이상 고령자는 4차, 5차까지 맞아야 안심이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첫 날인 1월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머슬마인드 피트니스센터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벗고 운동을 하고 있다.(사진=저작권자(c)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는 식당 등 자영업자들의 매출에도 기대가 된다. 그동안 정부가 방역지원금 등을 지원했지만 사실 이걸로는 부족했다. 내가 아는 동네 식당 사장은 얼어붙은 상권 활성화에 벌써 기대가 많다. 억눌렸던 소비 심리가 다시 살아나길 바란다. 지난해 9월, 정부가 야외 마스크 의무 착용을 해제했어도 거리에서 대부분 마스크를 쓰고 다닌다. 실내 마스크 착용도 마찬가지다. 정부가 권고로 바꾸어 일부 걱정하는 사람도 있다. 건강은 스스로 지켜야지 정부가 지켜 주는 건 아니다. 마스크 쓰고 다니면 답답하지만, 겨울에 미세먼지도 있고, 감기 등 호흡기 질환도 안 걸리고 좋은 점도 많다. 실내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는 소중한 일상으로의 복귀 시작이 아닐까 싶다. 이제 확진자 격리를 빼고 코로나19로 인해 취해졌던 모든 의무가 다 해제됐다. 나는 무엇보다 코로나19 두려움에서 벗어나 그토록 원하던 일상으로의 복귀가 시작된 것이어서 너무 기쁘다. 식당과 카페 등에 가보면 마스크를 벗지 않은 사람이 많다. 야구 명언 중에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라는 말이 있다. 코로나19도 그렇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까지 해제됐지만, 끝까지 긴장을 늦추지 않겠다. 코로나 확진자가 0명(ZERO)이 되는 그날까지 말이다. 코로나19 3년간 수고해준 의료진에게 감사한 마음이다.(출처=성남시청) #의료진덕분에 마지막으로 지난 3년간 국민을 위해코로나19와 싸워준의료진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정책기자단|이재형rotcblue@naver.com 변화를 두려워하는 자는 발전이 없다!
-
영상
[말해주세요] 직장 다니는 아빠의 생생한 육아일기 직장 생활과 육아를 병행하며쉴 틈이 없는 일상이지만, 아이가 처음으로 "아빠"라고 부르던그 순간을 잊지 못한다고 합니다. 대전에서 5살, 3살 아이를 양육하고 있는한 육아 아빠의2023년 새해 소망을 들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