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다가오는 우기(5월 15일 ~ 10월 15일)에 대비해 수해방지 대응체제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고 12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15일부터 기상 및 홍수상황에 따라 3단계(주의, 경계, 심각)로 구분해 우기 대비 비상상황근무를 실시한다.
특히 태풍경보가 발령돼 대규모 재난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등 재난상황 심각단계 발령 시에는 1차관을 실장으로 하는 홍수대응종합상황실을 운영한다.
또 현장 담당자의 반복 숙달을 통해 현장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재난상황을 가정해 담당자가 매뉴얼을 직접 적용해보는 현장 모의훈련도 기관별로 시행토록 한다.
홍수 시 관계기관(지자체, 언론사, 경찰서 등)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홍수 위험수위 도달 시 SMS 문자알림 서비스 등을 통해 홍수정보도 전송할 계획이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 6일, 전국 17개 시·도 광역지자체, 수자원공사 등 관련기관이 참여하는 2015년 우기대비 대응체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2014년도 발주한 수해복구공사 추진현황을 점검한 결과, 총 79건 중 51건(65%)이 완료됐다.
보상 등으로 인해 추진 중인 나머지 28건(35%)은 장비·인력 등을 집중 투입해 우기 전 최대한 주요공정(제방 보강 등)을 마무리하도록 했다.
또한 수방자재 비축 및 비상연락망 정비 현황을 점검해 우기 전 주요 수방자재 정비를 완료하고, 조직개편 및 인사이동을 반영해 5월 기준으로 비상연락망을 현행화하도록 했다.
국토부는 앞으로도 철저한 수해방지 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홍수피해를 예방하고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문의 : 국토교통부 하천운영과 044-201-3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