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서 역대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가 원전과 방폐장에 현지상황 대응팀을 급파해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2일 지진 발생 직후 우태희 산업부 제2차관을 경주에 급파해 월성원자력본부에서 13일 새벽 2시부터 원전 및 방페장 등 현장점검을 실시토록 하고 있다.
산업부는 현장대응반을 구성해 현장에서 발생하는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 조치하고 있다.
한수원, 한전, 원자력환경공단, 가스안전공사, 산업단지공단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팀과 함께 즉각적인 비상관련조치 등 제반필요조치를 수행하고 있다.
원전, 발전소, 송배전망, 가스, 송유관 등 에너지관련시설과 산업단지 등의 지진에 따른 전반적 상황과 영향을 점검하고 즉각적인 비상관련조치 등 제반필요조치를 수행하고 있다.
에너지분야는 에너지자원실장을 반장, 산업단지는 산업정책실장을 반장으로, 업종별 기업상황은 산업기반실장을 반장으로 하는 비상점검반을 가동해 상황이 종료될 때까지 운영키로 했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은 12일 19시 44분 지진발생 직후 1·2차관, 관련 실국장과 함께 장관이 직접 지휘하는 ‘지진상황대책본부’를 한전 서울급전분소에 설치·운영토록 했다.
지진에 따른 신속한 상황파악과 대응조치를 취할 것을 한전, 한수원, 발전자회사, 전력거래소, 석유공사, 가스공사, 가스안전공사 기관장 등에게 직접 지시했다.
아울러 한전, 한수원 등 전력관련기관에게는 원전 등 발전시설과 송배전시설을 철저하게 점검해 상황에 맞는 조치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다.
13일 오전 7시30분 주형환 장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지진대응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분야별 상황을 재점검했다. 에너지 기반시설과 주요 기업별 피해 상황을 점검한 결과 일시 중단 이후 재가동하거나 정상 가동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주형환 장관은 “지진에 따른 상황여건이 안정화될 때까지 기관별 비상대응 체제를 유지하라”면서 “비상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되 빠진 부분이 없는지 꼼꼼하게 점검하고 즉각적인 비상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재난담당관 044-203-55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