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국정 역사교과서 적용 1년 늦추고 국·검정 혼용

교육부, 내년 희망학교 ‘연구학교’로 지정해 국정교과서 주교재로 사용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이준식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이 27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적용 방침을 발표하고 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식 사회부총리겸 교육부 장관이 27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적용 방침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중·고교 국정 역사교과서의 전면 적용 시기가 당초 내년 3월에서 2018년 3월로 1년 연기된다. 또한 학교 선택에 따라 국정과 검정교과서를 혼용해 사용하게 된다.

대신 2017학년도에는 희망하는 학교를 우선 연구학교로 지정해 국정 역사교과서를 주 교재로 사용하게 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이같은 내용의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적용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2018학년도에는 국정 역사교과서와 함께 새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검정교과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을 개정해 국정도서와 검정도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새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도서의 개발기간도 1년 6개월에서 1년으로 단축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학교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2017학년도에 사용할 검정교과서 재주문, 국정 역사교과서 수요 조사 등 필요한 행정 조치를 신속히 취할 계획이다.

한편 교육부는 지난 11월 28일부터 이달 23일까지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웹 공개 의견 수렴 결과, 연인원 7만6949명이 14만6851회에 걸쳐 교과서를 열람했으며 2334명이 3807건의 의견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제출된 의견은 고교 한국사가 2467건, 중학교 역사② 1062건, 중학교 역사① 271건 순으로 많았다. 시대별로는 현대사 1733건, 일제강점기 622건, 고조선∼통일신라 141건, 기타 1231건 등으로 현대사 서술에 대한 관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유형별로는 내용에 관한 의견이 1630건으로 가장 많았고, 오탈자 67건, 비문 13건, 이미지 오류 31건, 기타 의견 2066건이었다.

하단 배너 영역